(Organ)

 

독일 파싸우에 있는
스테판 성당의 파이프 오르간
그리고 5단 건반의 연주대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오르간이라고 부르는 경우에는 리드 오르간을 가리키나 원래는 파이프오르간을 일컫는 말이다. 오르간의 기원은 상당히 오래 되었다. 리코더 ·피리 등을 음계순으로 나열해 만든 피리류, 즉 시링크스나 팡적(pan-pipe) 등은 기원전 수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것들은 모두 입으로 부는 것들이다. BC 265년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 살았던 크테시비오스는 물의 힘으로 일정한 압력을 보내는 송풍장치를 만들어 돌핀이라고 하는 삼각판(三角瓣)을 사용해 손가락으로 연주할 수 있는 시링크스를 발명하였다. 이것을 물 오르간이라고 불렀는데 오르간의 원시적인 모양으로 여겨진다. 물 오르간은 후에 아라비아인이나 그리스인의 애호를 받아 차차 개량되었다. 물에 의한 송풍장치는 점차 풀무로 대체되어 뉴매틱이라 불리게 되었다. 이는 그리스에서 로마로 전파되어 8∼9세기 무렵부터 그리스도교회에서 많이 쓰이게 되었다. 교회악기로서의 오르간은 14∼15세기에 크게 발달하여 대형(大型)의 것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파이프 오르간의 기초는 이 시대에 확립된 것으로 16세기의 르네상스시대에는 구조적인 개량도 이루어졌다. 교회용뿐 아니라, 일반 음악용의 포지티프도 많이 제작되어 합창음악이나 현악기 ·관악기와의 합주 등에 많이 쓰였다. 이 시대에 파이프나 스톱은 거의 오늘날 쓰이고 있는 것과 비슷하게 제작되고, 17∼18세기의 바로크시대는 오르간의 전성기로 악기의 왕자로서 거의 완전한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다. 이 무렵에 부크스테후데, 파헬벨, 바흐 등 오르간음악의 거장이나 슈니트거, 지르버만 등 유명한 제작공이 나왔다. 19세기 낭만파시대의 오르간은 관현악의 음색이나 음량(音量)의 영향을 받았고 피아노음악의 기법을 받아들여 연주효과를 주로 하는 음악이 유행하였다. 프랭크 레이거 등이 그 대표자이다. 20세기는 낭만파가 벽에 부딪쳐 바로크가 그리던 이상(理想)으로 되돌아가고 있는데 힌데미트, 메시앙 등이 이의 선구적인 작품을 만들었다.

  전자오르간 : 파이프 오르간은 설치와 비용이 너무 비싸서 요즘 교회에서는 전자오르간으로 대용하고 있다.

 

 

                                     표가 있는 것은 <비교감상실1, 2>에 가면 자세한 해설과 함께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라이트너   Hans Leitner (1931 -  ) : Germany

- Improvisation uber den Choral "Schonster Herr Jesu"

 리스트   Liszt, Franz (1811 - 1886) : Hungary

- Evocation a la Chapelle Sixtine

 머펫   Georf Muffat (1653 - 1704) :  Germany - Austria

- Ciacona in G-Dur 샤콘느 사장조

 메르켈   Merkel, Gustav Adolf (1827-1885) : Germany

- 환상곡과 푸가

 모차르트   Mozart, Wolfgang Amadeus (1756-1791) : Austria

- Andante cantabile KV 16ii

바흐   Bach, Johann Sebastian (1685-1750) : Gerrmany

- 토카타와 푸가 라단조 BWV 565 (오르간)       Helmut Walcha(Organ)       Karl Richter(Organ)

- 푸가 사단조 BWV 578           - 전주곡 Prelude BWV 532

- 전주곡 Prelude BWV 552)      - 파사칼리아 Passacaglia BWV 582 (오르간)

- 전주곡과 푸가 다장조 BWV 545 mit dem Largo aus der Sonate V/BWV 529,2 (오르간)

알비노니   Albinoni, Tomaso Giovanni (1671-1751) : Italy

- 아다지오

 코겐   Cogen, Pierre (1931) : France

- Nocturne pour orgue sum un theme populaire breton (오르간)

 헨델   Handel, Georg Friedrich (1685-1759) : Germany

- 오르간 협주곡 제12번 내림나장조
        제1악장 Pomposo     제2악장 Organo ad libitum (Lento)     제3악장 Air (A tempo ordinario)

- 오르간 협주곡 제13번 바장조 <뻐꾸기와 나이팅게일> 
        제1악장 Larghetto     제2악장 Allegro     제3악장 Organ ad libitum
        제4악장 Larghetto     제5악장 Allegro

 홀러   Holler, Valentin (1873 - 1932)

- Praludium fur Orgel nach Motiven der "Missa Papae Marcell" von Giovanni Pierluigi Palestr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