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ature |
태블러튜어 |
5선보에 의하지 않고 알파벳 문자나 숫자를 사용하여 음표를 적는 방법으로서 유럽 전역에 걸쳐 옛 시대의 기악연주자들이 사용했음. |
table |
타블 |
악기의 공명판. |
table d'harmonie |
타블 다르모니 |
울림판(공명판). |
table music |
테이블 뮤직 |
타펠무지크(Tafelmusik)의
영어식 표현 |
Tafelmusik |
타펠무지크 |
식사할 때 곁에서 연주되는 음악. 17,18세기 궁정 귀족사회의 사교음악을 말함. |
tam-tam |
탐탐 |
공(gong).
우리나라 징과 같은 소리를 내는 둥근 원반형 악기 |
tango |
탱고 |
아프리카 노예들을 통해 전해진 아르헨티나의 대중적인 춤곡. 제1차세계대전 중에 무도장에서 많이 추었다. |
tantara |
탄타라 |
나팔. 뿔피리 등의 소리 |
tarantella |
타란텔라 |
빠른 6/8박자 나폴리 춤곡. 장조와 단조가 번갈아 나타난다. |
tarentelle(Fr.) |
타렁텔르 |
위의 타란텔라를 뜻하는 프랑스어. |
Te Deum |
테 데움 |
로만 카톨릭 교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찬미가. '당신을 주님으로 찬미합니다'라는 뜻의 찬가. 아우구스티누스 또는 암브로지우스 작이라고 전해지는데 '거룩한 삼위일체 찬가'라고도 한다. 이 노래의 진짜 작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5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그 후 약다성부 작곡도 많아져 퍼셀, 헨델, 베를리오즈, 브루크너, 베르디 등의 곡이 알려져 있다. |
tedesco(It.) |
테데스코 |
독일의' 예:alla tedesca 독일식으로, 독일풍으로. |
Teil(Ger.) |
타일 |
part 혹은 section을 의미하는 독일어. |
tema(It.) theme |
테마 |
주제. 곡에서 중요한 요소를 구성하는 음들의 그룹. 한 작품에서 보통, 테마는 반복되거나 발전 된다. |
Tempo I. |
템포 프리모 |
처음의 빠르기로 |
tempo rubato |
템포 루바토 |
'잃어 버린 템포'란 어의를 가지고 있는 템포 루바토는 한 악구 중의 템포를 자유롭게 가감하여 연주하는 것을 말한다. 연주자는 기계적으로 정확한 박자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윗 성부를 템포 루바토로 연주해도 저음부를 정규 리듬으로 연주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원리는 18세기경부터 논의되어 오다가 쇼팽에 이르러 크게 유행되었다. |
tempo(It.) |
템포 |
빠르기 |
ten. Tenor |
테너 |
알토(alto)를 제외하고, 정상적으로 가장 높은 소리를 내는 남성의 목소리. 알토는 가성을 사용한다. |
tenero(It.) |
테네로 |
부드럽게 |
tenuto |
테누토 |
음표가 나타내는 길이를 충분히 유지하여 연주할 것. ten이라고 생략해서 쓰기도 함. |
tessitura(It.) |
테시투라 |
texture를 뜻하는 이탈리아어. 성악가가 자연스럽게 낼 수 있는 음의 영역. |
texture |
텍스쳐 |
작곡 혹은 오케스트레이션에서 감지되는 음의 상대적인 밀도.
예:"브람스의 오케스트레이션은 텍스쳐가 비제의 그것보다 두껍다." 바로 위에 설명한, 이탈리아어 tessitura와는 전혀 다른 의미이다. |
tie |
타이 |
붙임줄. 두개의 음을 붙여서 한 소리로 낸다. |
timbre(Fr.) |
탱브르 |
톤 칼라(tone color) |
toccata |
토카타 |
풍부한 화음과 빠른 프레이즈를 구사하여 즉흥적인 자유분방함을 나타내는 건반악곡. 보통 한 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기악곡으로, 연주자의 터치를 보여주는 빠른 템포로 되어 있다 (이탈리아어로 toccare는 '터치'를 뜻함). 그러나 하프시코드를 위한 바하의 토카타는 여러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toile |
트왈 |
막. 커튼. |
ton(Fr.) |
통 |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하게 사용하는 프랑스어 용어. note, tone, key 등을 의미한다. |
Ton(Ger.) |
톤 |
위의 ton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는 독일어 용어. |
tonality |
토날리티 |
key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 인데, 특히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 느껴지는 효과에 관심을 둔다. 여러 개의 키를 동시에 사용할 때 폴리토날리티(polytonality), 키를 사용하지 않을 때 아토날리티(atonality)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tone |
톤 |
(1)
음악으로 만들어지는 소리의 질. 예:"그는 유쾌한 톤으로 연주한다" (2)
순수한 음으로 구성되는 음악적 소리. 바이올린 소리는 여러 개의 다양한 톤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3)
두개의 반음으로 구성된 음의 간격. |
tone color |
톤 칼러 |
음색. 동일한 음을 제1의 악기로 연주한 것과 제2의 악기로 연주한 것을 서로 다른 것으로 느끼게 하는 것은 톤 칼러가 다르기 때문이다. |
tongue |
텅그 |
혀. 오르간의 리드 혀. |
tonguing |
텅깅 |
관악기를 취주할 때 혀의 운동에 의해 공기 의 흐름을 중단시키는 기술. |
touche(Fr.) |
뚜슈 |
현악기의 지판(指板). |
toujours(Fr.) |
뚜쥬르 |
언제나, 항상. |
tragedie lyrique(Fr.) |
트라줴디 리리크 |
프랑스에서 륄리(Lully)와 라모(Rameau) 시대(17-18세기)에 사용하던 용어로, '심각한 오페라(serious opera)'를 뜻한다. |
tranquillo |
트란퀼로
|
조용하게,
가만히 연주하라는 뜻
|
transcribe |
트랜스크리브 |
(1)
오리지날과는 다른 연주 매체를 위해 곡을 편곡하는 것. transcribe는 단순한 편곡(arrange)보다 더 자유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 (2)
상이한 기보법으로 다시 기보하는 것. 예:"중세 기보법으로 기록된 악보를 현대 기보법으로 transcribe 하다." |
transpose |
트랜스포즈 |
오리지날과는 다른 피치로 연주하도록 다시 쓰는 것. 이때 오리지날과 다른 음을 연주하는 악기를 transposing instrument라고 한다. 성악곡들은 성악가의 편리에 따라 더 높거나 더 낮은 키로 이조(移調 transpose) 된다. |
treble |
트레블 |
높은 소리의 한 유형. 보통, 어린이들의 목소리에 적용된다. 아주 높은 어린이의 목소리. |
tremolo(It.) |
트레몰로 |
"떨린다"는 뜻. 성악에서는 하나의 음의 급속한 반복이다. 현악기의 연주에서는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활을 상하로 빨리 움직여서 내는 하나의 음의 급속한 반복, 또는 두 가지 음의 급속한 교대이다. |
trio |
트리오 |
(1) 3중주. (2) 3중창. (3) 3성으로 작곡된 악곡. 트리오 소나타 |
troppo(It.) |
트로포 |
지나치게, 너무 많이. 예: allegro non troppo '지나치지 않은 알레그로' |
troubadour(Fr.) |
트루바두르 |
11-13세기에 프랑스 남쪽(엄밀히 말하면 르와르강 이남 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었던 시인이자 작곡가이며 성악가였던 연주자들. 이들은 한 곳에 머물러 있지 않고 이곳 저곳으로 방랑하였다.이탈리아어는 trovatore이다. |
trouvere(Fr.) |
트루베르 |
troubadour와 동일한 용어인데, 단지 이들의 활동 지역이 프랑스 북쪽(정확하게 말하면 르와르강 이북 지방)이었다.이탈리아어는 trovatore이다. |
tune |
튠 |
음, 즉 사운드라는 뜻. (1)
멜로디, 특히 단순한 작곡의 높은 파트 (2) 정확한 톤, 또는 정확한 톤으로 맞추는 것. 예:"피아노를 튜닝하다". |
tuning fork |
튜닝 포크 |
중앙에 자루가 달린U자 모양의 쇠막대. 소리굽쇠. 그 진동수를 표준으로 하여 조율하거나 음향을 측정한다. 프랑스어나 이탈리아어로는 디아파종. |
tutti |
투티 |
'전부'라는 뜻의 이탈리아 말이다. 보통 '총주'라 번역된다. 연주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연주자, 또는 가수가 동시에 연주하는 것을 말한다. 17, 18세기에는 협주곡에서 독주악기군의 연주와 구별하여 전합주를 투티(혹은 '콘체르토 그로소')라 불렀다. |
tutto(It.) |
뚜또 |
모든 것(all)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
twelve-tone music |
12음 기법 |
1옥타브 내에 존재하는 12개의 음 하나하나를 어떤 중심음에 관계를 맺게 하지 않고 평등한 위치를 부여하면서 작곡을 하는 기법. 조직적인 무조성이라고도 한다. 현재 주로 행해지고 있는 기법은 쇤베르크가 창안한 12음 기법이다. 오늘날 12음 기법은 현대음악의 바탕을 이루고 있다. |
tzigane(Fr.) |
찌간느 |
집시(gypsy)를 뜻하는 프랑스말. 독일어는 Zigeuner(치고이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