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gatelle |
바가텔 |
17~18세기의 성격적 피아노 소품을 말한다. 쿠프랭이 클라브생 모음곡에 사용한 후, 베토벤의 작품 33, 119, 126에 의해서 유명해졌다. '엘리제를 위하여'도 바가텔의 하나다. |
ballad |
발라드 |
(1)
민요조의 오래된 노래이며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대개 유절가곡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2)
이야기체로 되어있는 노래. 예를 들면 슈베르트와 뢰베가 작곡한 괴테의 '마왕'같은 노래. (3)
프랑스 오페라에서 많이 발견되는 이야기체 형식을 가진 노래. (4)
19세기 영국의 센티멘탈한 노래들. 같은 시대의 영국 오페라에서 많이 발견된다. |
Ballade |
발레데 |
담시곡. 중세의 역사 혹은 가공의 이야기. 낭만적인 이야기가 음악화되어 가곡의 형식을 취하게 된 것으로 슈베르트의 작품에서도 그 예를 쉽게 찾을 수 있다. |
ballata |
발라타 |
14세기 이탈리아의 중요한 시. 음악의 한 형식. 3절로 된 시의 구조에 대응하여 음악이 만들어짐. |
ballet |
발레 |
극적인 스토리를 가진 무용의 한 형식 |
balletto |
발레토 |
(1) 발레
(2) 16세기의 단순한 마드리갈 양식으로 작곡된 무곡풍의 성악곡. 17세기에는 성악뿐만 아니라 기악곡에도 이 형식이 사용되어 무곡 모음곡 혹은 건반을 위한 발레토집 등이 엮어짐. |
band |
밴드 |
(1) 악단. (2) 목관, 금관악기를 주축으로 하고 여기에 타악기를 덧붙인 합주. |
barcarole |
바르카롤 |
뱃노래. 특히 베니스의 곤도라 사공의 노래. 멘델스존의 '무언가집'에 수록된 세 곡과 쇼팽의 Op.60 이 대표적이며 이탈리아를 무대로 하는 오페라의 성악곡에도 자주 등장한다. |
baritone, baryton |
바리톤 |
남성 파트의 하나로 테너와 베이스의 중간 |
baroque music |
바로크 뮤직 |
바로크 음악. 원래 건축 용어로 '뒤틀린, 정교한, 무거운, 복잡한' 등의 뜻이 포함되어 있었다. '바로크'는 1600~1750년 유럽의 예술사에서 가장 지배적이던 시대 양식. 바로크 음악의 기법적인 특징은 모노디, 통주저음, 레치타 티보의 확립이며 이를 바탕으로 칸타타, 오라토리오, 오페라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또한, 소나타와 협주곡이 새로운 양식으로 확립된 시기. |
bass |
베이스 |
(1)
남성 성부 가운데 가장 낮은 소리. (2)
콘트라베이스의 준말. (3)
악기명에서는 그 족(family)의 가장 낮은 음 악기를 지칭. 가령 베이스 클라리넷. |
basso continuo |
바소 콘티누오 |
우리말로는 '통주저음'이라 한다. 바로크 시대에 널리 행해졌던, 특수한 연주형태를 지닌 저음 파트를 말한다. 당시의 건반 악기주자는 주어진 저음부의 선율 위에 즉흥적으로 오른손 성부를 만들면서 반주를 했다. 18세기 중반 이후에는 음악의 표면에서 자취를 감추었으나 화성 학습의 수단으로서는 오랫동안 생명을 유지했다. 약칭 B.C. |
bassoon |
바순 |
파곳. 더블 리드의 저음 목관악기. |
baton |
배턴 |
지휘봉 |
battaglia |
바탈랴 |
배틀 피스. 팡파르나 함성, 큰북 소리
등 전쟁을 묘사한 음악을 말함. 베토벤의 '웰링턴의 승리'가 그 예. |
battuta |
바투타 |
박자. 비트. '아 바투타'는 '박자에 정확하게 맞추어'라는 의미. |
beat |
비트 |
(1) 음향학 용어. 울림. (2) 박자의 단위. 근대 용법에서는 악센트의 셈여림(센박, 여린박)을 짜맞추는 방법에 따라서 여러 가지 박자를 얻을 수 있다. (3) 지휘자 손의 상하운동으로 표현된 템포의 단위. (4) 재즈의 리듬. |
beating time |
비팅 타임 |
손, 발 또는 밴드로 박자를 치는 것. |
bel canto |
벨 칸토 |
세련되게 잘 가꾸어진 목소리로 노래하는 것을 뜻함. 영어로 직역하면 '아름다운 노래하기 beautiful singing'을 뜻한다. 18세기 이탈리아에서 성립된 가창법의 일종. 극적 표현이나 낭만적인 서정보다는 음의 아름다움, 매끄러운 울림과 원활한 발성을 중시 함. 이탈리아 오페라나 모차르트 오페라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창법. |
Benedictus |
베네딕투스 |
미사 통상문에서 상투스(감사의 찬가)의 후반부. '찬양할지어다'라는 뜻. |
berceuse |
베르쇠즈 |
요람에서 부르는 노래, 자장가를 뜻하는 프랑스어. 6/8박자의 기악용 소곡이 가장 일반적이다. 쇼팽의 Op.57이 유명. |
bergamask |
베르가마스크 |
(1) 16,17세기 북이탈리아의 베르가모 지방에서 발생한 대중적인 선율.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중 '쿼들리베트'가 그 예. (2) 19세기의 베르가마스크는 6/8박자의 빠른 무곡. 단, 드뷔시의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은 베르가모 지방의 농민생활에 대한 인상을 바탕으로 했을 뿐 무곡과는 무관함. |
bergerette(Fr.) |
베르쥬레트 |
목가적인 스타일의 가벼운 프랑스 노래. 프랑스 말로 berger는 양치기를 뜻한다. |
Berlin School |
베를린 스쿨 |
베를린 악파. 18세기 후반 베를린에서 활약한 작곡가 그룹에 대한 집합적 명칭. 북독일 악파라고도 함. C.P.E. 바흐가 대표적. |
big band |
빅 밴드 |
재즈나 댄스 음악을 연주하는 대편성의 악단. 브라스(트럼펫, 트롬본), 리드(클라리넷, 섹소폰), 리듬 (피아노, 기타, 베이스, 드럼)의 3개 섹션으로 구성. |
binary form |
바이너리 폼 |
두 도막 형식. 기본 형식의 하나로 총 16마디. |
bis |
비스 |
(1)
어떤 패시지나 몇 마디의 짧은 부분에 대하여 반복을 지시하는 용어. (2) 프랑스에서는 앙코르의 뜻. |
Blasemusik |
블라제무지크 |
취주악기 |
Blatt |
블라트 |
리드 |
blues |
블루스 |
19세기 후반에 미국의 흑인들 사이에 형성된 독특한 가곡으로 그 형식과 특징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말. 특히 20세기에 들어와서 재즈의 연주 소재가 되는 동시에 표현에 있어서도 재즈의 스승이라 할 수 있다. |
Bobisation |
보바자치온 |
17,18세기에 시도되었던 여러 가지 계명 창법의 총칭. 반면 '도, 레, 미, 파...'로 대표되는 계명 창법은 솔미제이션이라고 한다. |
Bohemian School |
보히미언 스쿨 |
보헤미아 악파. 19세기~20세기 초엽에 활동하던 체코의 국민악파를 가리킴. 18세기 후반 싹트기 시작한 민족주의와 19세기에 팽배해진 낭만주의의
영향으로 등장. '체코 근대 음악의 아버지'인 스메타나와 체코의 민족주의 음악을 국제 무대에 성공적으로 진출시킨 드보르작에 의해 확립. |
bolero |
볼레로 |
스페인 무용의 하나. 음악은 3박자가 대부분이며 쇼팽의 Op.18와 라벨의 관현악곡이 유명하다. |
Bologna School |
볼로냐 스쿨 |
볼로냐 학파.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엽 볼로냐에서 특히 기악의 창조에 공헌한 일군의 음악가들. 산 페트로니오 성당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합주음악을 발전시켜 소나타와 협조곡의 형식을 확립하는데 기여 했다. |
boogie woogie |
부기 우기 |
미국 남부의 흑인 피아니스트가 고안한 피아노 블루스의 특이한 주법. 베이스 리듬을 1마디에 8박으로 잡고 되풀이하는 동안 오른손으로 자유롭게 애드립. |
bop |
밥 |
비 밥(be-bop). 1940년대초, 중기에 실험적으로 형성된 혁신적인 재즈 스타일. 모던 재즈의 근거가 됨. |
bossa nova |
보사 노바 |
새로운 천성'이란 뜻의 이 단어는 브라질의 춤 삼바에 재즈 감각을 삽입한 것으로 재즈 삼바라고도 함. |
bourree |
부레 |
17세기 프랑스의 무곡으로 J.S.Bach의 '프랑스 모음곡'중 제6번이 그 예. |
bow |
보우 |
현악기의 활. 보잉(bowing)은 활을 다루는 운궁법을 말함. |
brass wind |
브라스 윈드 |
금관악기. 호른, 트럼펫, 트롬본 등이 포함 |
bridge |
브리지 |
(1) 현악기의 줄받침. (2) 브리지 패시지. 두 주제를 연결하는 부분. (3) 클라리넷의 중간 음역. |
brillant |
브릴란테 |
화려하게 |
brindisi(It.) |
브린디지 |
음주의 노래를 뜻하는 이탈리아 말. 예를 들어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에 나오는 <축배의
노래>. |
buffa, buffo |
부파, 부포 |
이탈리아어로 '익살스런'이란 뜻. |
bugie |
뷰글 |
(1) 신호나팔. 흔히 말하는 군대용 나팔로 밸브가 없는 고음 금관악기. (2) 색소폰족. |
burden |
버든 |
노래의 반복되는 구절. burden 보다는 refrain 이 더 많이 쓰인다 |
button |
버튼 |
끝핀. 찰현악기의 몸통 최하단에 있는 부분으로 줄을 감아 매는 역할을 함. |
BWV |
베 베 파우 |
슈미더가 편집한 J.S.Bach의 주제목록. 바흐의 작품 번호로 널리 사용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