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곳 |
Fagott |
파곳. 바순. 원뿔 모양의 더블 리드를 가진 저음 목관악기. |
파도 |
fado |
포르투갈의 대표적인 민요와 춤. |
파랑돌 |
farandole |
프로방스 지방의 옛 춤. 중간 빠르기의 6/8박자이며 보통 폴로네이즈라는 이름으로 오늘날까지 추어 지고 있는 춤곡. 비제의 '아를르의 여인', 구노의 '미레이유' 에서 사용하고 있다. |
파르벤무지크 |
Farbenmusic |
색채음악. 음과 색의 유추적인 관계를 실제의 음악에 응용하여 음악을 색채로 표현하려는 여러 가지 시도. 림스키 코르사코크의 경우에는 C장조와 D 장조를 각각 흰색과 빨강으로 해석한 바 있다. 또한, 작품이 나 작곡가를 색채와 결부시키는 주장도 있다. 가령 '탄호이 저'와 모차르트는 청색. 쇼팽은 녹색, 베토벤은 검정색으로 설명한다. |
파르티시용 |
partition(Fr.) |
악보(score)를 뜻하는 프랑스 말. |
파르티타 |
partita |
17-18세기 용어로 모음곡과 일련의 변주곡이라는 두 가지 의미. |
파르티투르 |
Partitur(Ger.) |
악보를 뜻하는 독일어. |
파를란도, 파를란테 |
parlando, parlante(It.) |
말하는 톤으로 노래하라는 용어. |
파반느 |
pavane |
16세기 이태리 provenance의 궁정 댄스. 17세기 초기 파두아나(paduana)라는 이름으로 독일 초기 모음곡 중에 삽입. 대부분 4박자이고 간혹 3박자 곡도 있음. |
파스토랄 |
pastorale |
목가(牧歌). 시골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 음악. (1) 목가적이고 한가로운 구성의 16세기 극. (2) 숌(shawm)과 피리(pipes)를 사용 하는 양치기의 음악을 모방한 기악 또는 성악 작품. |
파스투렐르 |
pastourelle(Fr.) |
본래는 '여자 양치기'를 뜻함. 기사가 여자 양치기와 나누는 시적 대화를 뜻하는데 여자 양치기를 유혹하는 내용이다. 그러한 시를 작곡한 성악곡. 13세기 혹은 그 이전에 프랑스에서 유행하였다. 나중에 이 용어는 다시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때는 일반적으로 목가적인 삶을 다룬 작품을 뜻함. |
파스티슈 |
pastiche(Fr.) |
pasticcio를 뜻하는 프랑스 말. |
파스티치오 |
pasticcio(It.) |
18세기에 유행하던 것인데 여러 작곡가의 음악을 조립하여 만든 오페라. |
파시오 |
Passio(Lat.) |
Passion을 뜻하는 라틴어. |
파이어리히 |
feierlich(Ger.) |
엄숙하게, 강렬한 느낌으로. |
파트 송 |
part song |
여러 개의 성부로 구성되어 있는 노래. 솔로나 제창(unison song)과 구별된다. 특히 16세기 초 영국에서 유행하던 노래 형식으로, 대위법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여러 성부를 가지고 있다. 가장 높은 성부가 멜로디라는 점이 마드리갈과 다르다. |
판당고 |
fandango |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의 민요와 춤. 대표적인 플라멩코 음악. 글룩의 발레 '돈 환', 모차르트 의 '피가로의 결혼' 제3막 피날레,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스 페인 카프리치오' 등의 작품에 들어가 있다. |
판도라, 반도라 |
pandora, bandora |
16~17세기에 사용된 베 이스 크기의 악기로 현을 퉁겨서 소리냄. |
판두라 |
pandoura, pandura |
고대 그리스의 긴 자루가 달린 류드. |
판두라, 반두리아 |
pandura, bandurra |
기타족에 속하는 스페인 악기로 특히 남 스페인에서 널리 쓰임. 현재 6개의 겹줄에 의해 4도 간격으로 조율된다. |
판타지아 |
fantasia |
환상곡. 형식에 구애됨 없이 악상이 떠오르는 대로 작곡된 악곡. 17세기 영국에서는 기악합주용 판타지아를 '팬시'라 일컬었음. 즉흥적인 성격이 강한 모차르트 의 판타지 D단조와 소나타 형식으로 된 슈만의 환상곡 등이 있다 |
판토마임 |
pantomine |
무언극. 보통 음악 반주가 딸림. |
팔제토 |
falsetto(It.)? |
가성. 성인 남성이 그들의 정상적인 음역보다 더 높은 음역에서 내는 목소리. 남성 알토, 즉 카운터 테너(counter-tenor)는 가성을 사용한다. |
팝 |
pop |
popular의 줄임말. 본래는 형용사로 '넓은 청중에게 호소하는'을 뜻했다. 그러나 1950년대에 와서 클래식이 아니며, 상업적인 목적으로 주로 미국에서 만든 노래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
팟사칼리아 |
passacaglia |
바로크 시대 음악의 한 형식으로 3박자의 느린 변주곡. |
팡파르 |
fanfare |
(1) 의식, 군대, 사냥 등에 사용되는 트럼 펫 신호. (2) 프랑스에서는 브라스 밴드를 뜻하는 말. |
패러프레이즈 |
paraphrase |
(1) 잘 알려진 선율을 자유롭게 편곡하는 것. (2) 14-16세기의 음악에서는 그레고리오 성가 의 선율을 자유롭게 세밀화 하는 것. |
패션 |
passion |
수난곡. 수난에 관한 성경 스토리를 음악으로 작곡한 것. 라틴어로 passio는 수난 혹은 고통을 뜻함. 특히 예수의 죽음을 다룬 것이 많다. 수난곡은 대개 교회에서 부활절 이전에 연주한다. 예: 바하의 '성 요한 수난곡', '성 마태 수난곡'등. |
패시지 |
passage |
구. 독립된 악상을 이루기보다는 주로 화려하고 기교적인 악구. |
팬시 |
fancy |
17세기 영국에서 기원한 기악합주곡. 주로 비올족의 합주로 연주되는 팬시는 16세기 이탈리아의 판타지아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
퍼스트 바이올린 |
first violin |
제1바이올린. 선율을 노래하는 일이 많고 가장 중요한 성부이다. |
퍼스트 서브젝트 |
first subject |
제1주제. 소나타 형식의 핵 심이 되는 두 개의 주제 중 하나로서 처음에 제시된다. 여성 적인 제2주제와는 달리 남성적. |
퍼커션 |
percussion |
타악기. |
퍼포먼스 프렉티스 |
performance practice |
연주 관습. 중세로부터 바흐에 이르기까지 초기음악이 어떻게 연주되었는가를 연구하는 것. |
펑키 |
funky |
재즈 용어. '흑인의 체취'라는 뜻의 은어인데. 재즈 연주에 있어서는 흑인적인 감정, 감각, 선율적인 특색을 '펑키한 연주'하고 한다. |
페달 포인트 |
pedal point |
다른 성부의 화음이 변해도 베이스 성부에서 특정 음을 길게 끌어 주어서 자연스런 불협화음 을 나타내기도 함. |
페더링 |
feathering |
바이올린의 가벼운 활쓰기 혹은 섬세한 활쓰기를 말함. |
페러디 |
parody |
(1) 이미 만들어진 곡에서 선율이나 가사를 차용하여 작곡하는 수법. (2) 1600년 이전, 가끔은 17세기에 도 타인이나 자기 곡의 고정선율이나 구성을 바탕으로 다시 작곡하는 것을 일컬음. (3) 오늘날에는 원래가사를 우습게 바꾸거나, 곡을 우습게 변형시키는 것과 같은 풍자적 모방을 뜻함. 음악뿐만 아니라 문학에서도 사용하는 용어이다. |
페르마타 |
fermata |
악곡에서 특별한 표정을 나타내기 위해 작품의 도중이나 끝에서 박자의 운동을 정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기호를 가리키는 말. |
페스티벌 뮤직 |
festival music |
축전음악. 축전 때 연주할 목적으로 쓰여진 작품. 헨델의 '수상음악', 브람스의 '대학축 전 서곡', 바그너의 '황제'행진곡이 유명. |
페잔테 |
pesante |
무겁게 |
페토 |
petto(It.) |
가슴. voce di petto는 가슴소리(chest voice). |
펜타토닉 |
pentatonic |
5음 음계. |
펠트무지크 |
Feldmusik |
'야외음악'이라는 뜻. 야외에서 연 주되는 취주악기에 대한 18세기까지의 호칭. 간단한 신호 나 팔뿐만 아니라 비교적 큰 규모의 곡도 있다. |
포 헨즈 |
four hands |
네 손. 피아노 2중주는 '네 손을 위한' 작품이다. |
포르 드 봐 |
port de voix(Fr.) |
(1)
위의 portamento와 동일한 뜻. (2) 17세기 이후 프랑스 음악에서 장식음을 의미함. |
포르타멘토 |
portamento(It.) |
리의 끊어짐이 없이, 한 음에서 높거나 낮은 다른 음으로 옮겨 가라는 용어. |
포르탄도 |
portando(It.) |
portamento와 동일한 용어. |
포르테 |
forte |
강하게. 크게. |
포르테피아노 |
fortepiano |
(1) 피아노포르테의 옛명칭. (2) 센소리가 즉각 여린소리로 계속되는 것. 기호로는 fp. |
포를르나 |
forlana |
북이탈리아 기원의 무곡. 16세기의 무곡 집에서는 짝수 박자로. 바로크 음악에서는 부점리듬으로 이어졌으며, J.S.Bach의 관현악 모음곡 C장조에도 포함되어 있다. |
포스트-로만티시즘 |
post-Romanticism |
후기-낭만주의. 낭만주의의 절정에 해당하는 바그너 이후에 계속된 음악 스타일에 적용되는 용어. 후기-낭만주의는 힘을 중요시 하며, 감정이나 철학적인 사상과 음악의 연계를 강조한다. 예를 들어 말러(Mahler)처럼. |
포어슈필 |
Vorspiel(Ger.) |
전주곡(prelude).? |
포케토, 포케티노 |
pochetto, pochettino(It.) |
poco(조금)의 지소어(指小語). |
포코 |
Poco |
조금. |
포코 아 포코 |
poco a poco |
조금씩. |
포크 뮤직 |
folk music |
민속 음악 |
포크 송 |
folk song |
작자 불명의 오래된 민요. 민중의 전승 가요. 그 소박한 가곡형식과 정신에 바탕을 둔 현대의 포크 송도 있음. |
포키시모 |
pochissimo(It.) |
poco의 최상급. 아주 조금. |
포푸리 |
pot-pourri(Fr.) |
여러 선율을 뒤섞은 혼성곡. 메들리. |
폴로 |
polo |
스페인 춤의 한 형태로 노래를 동반하고 있다. |
폴로네이즈 |
Polonaise |
장대하고 축제적인 성격을 지닌 폴 란드의 국민적 무곡, 보통 빠르기의 3박자이며 강박에서 시작하여 약박에서 끝나는 악절을 갖고 종종 짧은 리듬동기가 반복됨. |
폴리아 |
folia |
이베리아 반도의 옛 무곡으로 3박자계 리듬. 17세기 이후의 폴리아는 다채로운 변주곡이 유행했으며 당초의 시끄러운 곡조에서 오히려 장중한 취향으로 변화했다. |
폴리포니 |
Polyphony |
다성음악. 독립된 성부들이 동시에 연주되는 형태. |
폴리포니? |
polyphony |
다성(多聲) 음악, 즉 복수성부를 가진 음악이다. 기법으로는 대위법이라는 형태로 행해지는 것이 대표적이며 악곡형식으로서는 푸가가 가장 완성된 것으로 알려진다. 바하 시대에 융성했다가 고전주의 이후에는 화성음악이 주류를 이루게 되는데, 20세기 들어서 무조양식이 출현하면서는 다시 폴리포니의 기교가 커다란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
폴카 |
Polka |
빠른 2박자의 보헤미아 춤곡으로 리듬이 특징 적. 스메타나, 드보르작 등에 의해서 예술 음악에 도입. |
폼 |
fom |
음악 형식. 가령 소나타 폼은 소나타 형식을 말함. |
표제음악 |
Program Music |
표제음악이란 인간의 감정 또는 문학, 회화 등의 내용을 음악으로 표현한 것으로 예로 리스트의 교향시나 차이코프스키의 무용 모음곡 등을 들 수 있다. |
푸가? |
fuga |
하나의 주제가 각 성부 혹은 각 악기에 의해 정기적으며 규율적인 모방 반복이 되면서 특정한 조성 법칙하에 이루어지는 악곡이다. 푸가가 갖는 선율적 요소는 주제, 응답, 대주제 등 세가지이다. 14세기부터 싹이 튼 푸가는 17세기에 차츰 정비되어 바하 및 헨델에 이르러 비로소 꽃이 피었다. |
푸오코소 |
fuocoso |
열정적으로.? |
풀 스코어 |
full score |
지휘자가 연주할 때 사용하는 악보. 관현악의 총보 혹은 합창의 전체 파트악보가 적힌 것을 말함. |
퓨처리즘 |
futurism |
미래주의. 20세기 초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일어난 예술의 혁신운동. 전통적인 미의 부정과 새로운 세대에 부응한 소재와 테마의 정립을 이념으로 하여 힘찬 역 동성과 색채감이 두드러지는 것이 특징. 루솔로의 소음 음악 이 대표적. 1914~1915년에 거의 소멸되었고 신고전주의 등 로 분산 발전됨. |
프래루디움 |
Praeludium(Lat.) |
전주곡(prelude).? |
프레세 |
pressez(Fr.) |
가속하라, 속도를 올려라. |
프레스토 |
presto(It.) |
빠르게.? |
프레스티시모 |
prestissimo(It.) |
매우 빠르게. presto의 최상급. |
프레이즈 |
phrase |
악절. 선율선의 자연스런 구분을 말함. 1600-1900의 음악은 종종 4마디 단위의 규칙적인 악절을 갖음. |
프레이징? |
phrasing |
프레이즈, 즉 악구(樂句)란 선율선의 자연스런 구분을 말한다. 이 프레이즈를 나누는 방법이 프레이징이다. 곡의 해석상 프레이징은 미세한 것이긴 하나 매우 중요하다. 여기에는 이론들을 구구하지만 하나의 이론으로 예술적 뉘앙스를 획일화시키는 것은 해롭다는 설도 있다. |
프레치피타토, 프레치피토조 |
precipitato, precipitoso(It.) |
성급하게, 급히, 서둘러서. |
프렌치 쉬트 |
French suite |
프랑스 모음곡. J.S.Bach가 두 번째 아내를 위하여 작곡한, 건반 악기를 위한 6곡의 모음곡. |
프렌치 오버튜어 |
French overture |
프랑스풍 서곡. 서곡으 로서는 최초의 정형. '아탈리아풍 서곡'은 고전파의 교향곡으 로 발전한 것에 반해 바로크와 함께 쇠퇴하게 됨. |
프렐류드 |
Prelude |
전주곡. (1) 15세기, 16세기초의 프렐류드는 10마디에서 12마디 정도의 자유로운 건반악기 양식. (2) 대략 1650년경에는 작곡가들이 특정 악곡과 플렐류드를 결합하기 시작. 모음곡들을 시작하는 역할을 함. (3) 19세기의 프렐류드는 본질적으로 피아노를 위한 성격 소품. |
프로그라마틱 뮤직, 프로그람 뮤직 |
programmatic music, programme music |
스토리나 그림을 해석하는 음악. 이 용어는 '콘서트 프로그람'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일러스트러티브 뮤직(Illustrative music)'으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곡이 표현하는 것을 작곡자에 의해 제목이나 설명문이 덧붙여져 청중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끌어 주는 음악. 그 제재와 결부된 문학적·회화적·극적· 내용과 관련된 표현 내지는 암시를 하려는 기악곡. 이런 의미에서 추상적인 절대음악과 대별된다.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이 표제음악의 대표적인 예가 된다. |
프로그램 뮤직 |
Programme music |
표제음악. 문학적, 회화 적, 극적 내용을 표현 내지 암시하는 제목이나 서문이 있는 기악곡. |
프로메테우스 |
Prometheus |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거인족인데, 올림퍼스에서 불을 훔쳐 인간에게 전해주었다. 그 벌로 그는 바위에 묶인채 독수리에게 간을 먹혔다. 프로메테우스는 많은 음악의 주제가 되었다. 특히 괴테의 '프로메테우스'는 슈베르트(1819)와 볼프(1889)가 쓴 리트의 텍스트가 되었다. |
프로톨라 |
frottola(It.) |
1500년경 이탈리아에서 유행했던 가벼운 노래 스타일인데, 여러 성부로 구성되었다. 가장 높은 성부가 멜로디였다. |
프롬나드 콘서트 |
promenade concert |
1830년경 런던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말로 야외의 광장이나 정원 등에서 행해진 음악회. 청중은 걸어다니거나 차를 마시거나 하면서 음악을 즐겼다. 오늘날에는 주로 야외 공연장에서 개최되는 파퓰러한 클래식의 연주회를 말한다. 파바로티의 런던 하이드 파크 연주회가 그 대표적인 예. 미국에서는 학생이 주최하는 콘서트로서 '프롬'이라 줄여 쓰기도 한다. |
프롬나드 콘서트 |
Promenade concert |
1830년경. 런던에서 상연되기 시작한 말로, 야외의 광장이나 정원 등에서 행해진 음악회. 오늘날에는 주로 야외 공연장에서 개최되는 연주회를 말함. |
프롬트 |
prompt |
오페라에서 성악가에게 시작하라는 신호를 줌. |
프리마 도나 아솔루타 |
prima donna assoluta(It.) |
절대적인 프리마 도나. 프리마 도나 중에서 프리마 도나. |
프리마 돈나 |
prima donna |
'제1의 여성'이란 뜻이다. 오페라나 발레의 주역 여성가수, 또는 주역 여배우를 말한다. 이에 대해 주역 남성 가수, 주역 남우는 '프리모 우오모'라 한다. |
프리마 돈나 |
Prima donna |
오페라 또는 극의 여성 주역 가 수 또는 배우. 남자 주역은 프리모 우오모(primo uomo)라고 함 |
프리마 볼타 |
prima volta(It.) |
첫번째. |
프리마 비스타 |
prima vista(It.) |
초견. |
프리마, 프리모 |
prima(It.), primo |
제일의, 첫째의. 프리모는 남성형, 프리마는 여성형 형용사이다. 특히, 프리모는 듀엣 피아노 곡에서 높은 파트를 가리킴. |
프리메이슨 뮤직 |
Freemason music |
프리메이슨의 음악. 프리메이슨 운동은 1717년 런던에서 발생하여 각국에 퍼진 시민주의적, 자유주의적 우애조직을 말하며 하이든, 모차르트, 리스트 등 수많은 작곡가들이 가입해 있었다고 한다. '마술피리'는 제재에 있어서 프리메이슨의 의식으로부터 많은 것을 빌려왔다. |
프리모 우오모 |
primo uomo(It.) |
오페라의 캐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남성 성악가. |
프리모, 프리마 |
primo, prima(It.) |
제일의, 첫째의. 프리모는 남성형, 프리마는 여성형 형용사이다. 특히, 프리모는 듀엣 피아노 곡에서 높은 파트를 가리킴. |
프리-클래시컬 |
pre-classical |
C.P.E. Bach나 J.C. Bach같은 작곡가들의 음악 스타일을 지칭하는 용어. 이들은 바로크보다 나중에 속하며, 하이든이나 모차르트 같은 비엔나 고전주의 음악가들 보다 바로 앞선 시대에 속한다. |
프린시팔 |
principal |
(1)
오케스트라의 각 섹션에서 리더인 연주자. (2) 오페라에서 주요 배역을 맡은 성악가. |
플라멩코 |
flamenco |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의 민속음악 및 무도로서 이 지방에 거주하는 집시의 요소를 섞은 것 의 총칭 |
플랫 |
flat |
내림표. 본래의 음보다 반음을 내리라는 뜻의 변화표. |
플레미시 스쿨 |
Flemish School |
플랑드르 악파. 르네상스 중·후기에 플랑드르 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현재의 북프랑스 에서 네덜란드에 걸친 지역 출신인 작곡가들을 지칭. 오케겜과 조스캥이 대표적. |
플레인찬트, 플레인송 |
plainchant, plainsong |
중세의 교회용 성악곡으로, 나중에 그레고리안 찬트(Gregorian Chant)로 칭해져 로만 카톨릭 교회에서 예배용으로 채택되었다. 플레인찬트는 무반주 단선율 성악곡으로 멜로디는 '자유로운'리듬으로 구성되었다. 고유의 기보법으로 기록됨. |
플루트 |
flute |
플루트. 하모닉스를 연주할 수 있는 유일한 목관 악기로 빠른 트릴과 패시지를 쉽게 연주할 수 있는 것 이 특징. 맑은 음색으로도 유명. |
피규어 |
figure |
음형. 몇 개의 음으로 만들어진 기본 형태로 음악의 가장 짧은 구성 부분. |
피날레? |
finale |
마지막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로 음악에서는 두 가지 의미로 쓰인다. 첫째, 소나타 및 그와 비슷한 교향곡, 4중주곡 등의 끝악장이다. 고전 소나타에서는 보통 론도 형식의 또는 소나타 형식의 빠른 악장이지만, 때로는 변주곡 형식으로 작곡되기도 한다. 둘째, 오페라에서 한 막의 마지막 곡을 말한다. 이 부분에서 극적으로 고조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다른 곡보다 길고 규모가 크다. |
피네 |
fine |
끝. 악곡의 마침. |
피들 |
fiddle |
바이올린족의 속칭. |
피리 |
piri |
한국, 중국의 목관악기. 한국피리는 대나무로 되어 있고 겉쪽에 7개, 안쪽에 1개의 구멍이 있다. 중국피리는 겉쪽에 7개, 안쪽에 1개나 2개의 구멍이 있다. |
피아노 |
p |
이탈리아어 piano의 줄임말. 약하고 부드럽게. |
피아노 듀엣 |
piano duet |
피아노 2중주. 한 대 또는 두 대의 피아노로 두 사람이 연주함. |
피아노 콘체르토 |
piano concerto |
피아노 협주곡. |
피아노 플레잉 |
piano playing |
피아노 주법.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연구에 바탕을 둔 연주 교육의 진보는 지난 100년 동 안에 이루어 졌음. |
피아노. 피아노포르테 |
piano, pianoforte |
우리가 보통 '피아노'라고 부르는 악기를 뜻하는 이탈리아 말. 글자 그대로의 의미는 '약하게-세게'이다. 예전의 하프시코드보다 강약을 더 잘 표현할 수 있는 악기라는 것을 나타내는 듯함. 1709년 이태리의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meo Cristofore)가 만든 'gravicembalo col piano e forte'를 피아노의 발명으로 봄. |
피아니시모 |
pianissimo(It.) pp. |
매우 약하고 부드럽게. 보통 pp.로 표기한다. |
피우 |
piu |
더욱. 예:piu lento 더욱 느리게 |
피치 |
pitch |
음의 높이. 음의 진동수의 차이를 의미하는데, 오늘날 표준 피치는 a'음을 일초당 440진동으로 하고 있음. |
피콜로 |
piccolo |
플루트보다 1옥타브 높은 음역을 가진 목제 또는 금속제의 플루트. |
필름 뮤직 |
film music |
영화음악 |
필하모닉 |
philharmonic |
음악애호. '음악을 좋아하다'는 뜻에서 온 말, 교향악단. |
핑거링 |
fingering |
운지법. 일정한 음을 연주하기 위해 어떤 악기에 적용되는 손가락 사용법. 음표의 위나 아래에 숫자를 붙여서 나타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