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빠르기표와
빠르기말
1) 빠르기표(M.M.):
악곡의 빠르기 정도를 나타내는 표로 악곡 첫머리에 멜첼(J.N. Malzel)이 만든 메트로놈(박자기)의 빠르기를 기준으로
하여 1분 동안에
해당 음표를 치는 숫자로 표기한다.
M.M. ♩=120 :
4분음표를 1박으로 기준할 때 1분 동안에
♩(4 분음표)를 120번 되풀이하는 빠르기로
연주한다.
2) 악곡
전체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말
빠르기말
|
읽 기
|
뜻
|
빠르기말
|
읽 기
|
뜻
|
Prestissimo
|
프레스티시모
|
Presto보다 빠르게
|
Andantino
|
안단티노
|
조금
느리게
|
Vivacissimo
|
비바치시모
|
Vivace보다
빠르게
|
Andante
|
안단테
|
느리게
|
Presto
|
프레스토
|
매우
빠르게
|
Adagietto
|
아다지에토
|
Adagio보다
빠르게
|
Vivace
|
비바체
|
아주
빠르게
|
Adagio
|
아다지오
|
매우느리고
평온하게
|
Allegro
|
알레그로
|
빠르게
|
Lento
|
렌토
|
아주
느리게
|
Allegro
moderato
|
알레그로
모데라토
|
중간쯤의
빠르기로
|
Larghetto
|
라르게토
|
largo보다
빠르게
|
Allegretto
|
알레그레토
|
조금
빠르게
|
Largo
|
라르고
|
아주
느리게
|
Moderato
|
모데라토
|
보통
빠르게
|
Grave
|
그라베
|
매우
느리게
|
|
속도 기호(Tempo Signature) 에 대한 이해
속도기호를 말로서 표현하는 것은 매우 막연한 일이다. 왜냐하면 Grave 와 Largo, Lento, Adagio 가 모두 [매우 느리게] 라고 번역되기 때문이다. 젊은이들의 [매우 느리게]와 노인들의 [매우 느리게]는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Metronome(박자기) 에 의한 숫자로 표시하는 것이 비교적 정확한 표현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도 결코 만능은 아니다. 왜냐하면 메트로놈의 제작회사에 따라 해석이 다를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작곡자와
시대에 따라서도 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
일반적으로
빠르기말과 메트로놈 속도는 아래와 같이 비교하면 이해하면 쉽다.
Moderato를
중심(90)에 두고 빨라지는 것은 20씩 더하고, 느려지는 것은 10씩 뺀
숫자를 기억하면 비슷하게 맞게 된다.
빠르기말
|
Grave
|
Largo
|
Adagio
|
Andante
|
Andantino
|
Moderato
|
Allegretto
|
Allegro
|
vivace
|
presto
|
메트로놈속도
|
40
|
50
|
60
|
70
|
80
|
90
|
110
|
130
|
150
|
170
|
3) 악곡의 부분적인
빠르기를 나타내는 말
빠르기말
|
읽 기
|
뜻
|
빠르기말
|
읽 기
|
뜻
|
accel.
(accelerando)
|
아첼레란도
|
점점
빠르게
|
piu
mosso
|
피우
모소
|
더 빠르게
약동하여
|
ad
libitum
|
애드
리비툼
|
자유롭게
|
rall.
(rallentando)
|
랄렌탄도
|
점점
느리게
|
allargando
|
알라르간도
|
점점
느리고 폭넓게
|
rit.
(ritardando)
|
리타르단도
|
점점
느리게
|
a
tempo
|
아 템포
|
본디
빠르기로
|
ritenuto
|
리테누토
|
곧 느리게
|
con
moto
|
콘 모토
|
빠르게
|
smorzando
|
스모르짠도
|
차차
꺼지듯이
|
L'istesso
tempo
|
리스테소
템포
|
같은
빠르기로
|
sostenuto
|
소스테누토
|
음을
끌어서
|
meno
mosso
|
메노
모소
|
보다
느리게
|
stringendo
|
스트린젠도
|
점점
서두르며
|
morendo
|
모렌도
|
점점느리고
사라지듯이
|
Tempo
I
|
템포
프리모
|
처음
빠르기로
|
piu
lento
|
피우
렌토
|
좀더
느리게
|
tempo
rubato
|
템포
루바토
|
음의
길이를 자유롭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