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화음 (Chord)  -  1. 장조의 화음( Major - Chord)

  

 1) 화음 :

화음이란  높이가 다른 둘 이상의 음이 동시에 어울리는 것을 말한다.

화음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음계와 음정을 알아야 한다. 화음은 음계와 음정을 바탕으로 하여 구성되기 때문이다.

음계란 어떤 기준음(으뜸음)을 시작으로 차례로 8개의 음을 정해진 간격으로 늘어 놓은 것을 말한다.

음정이란 두음 사이의 거리(높이의 차)를 말한다.

 

먼저 다장조의 음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런데 다음 악보를 보면 번호인 아라비아 숫자를 로마숫자로 바꾸어 주었고, 순서에 따라 또 다른 이름이 붙어있다.

    

즉, 장음계든 단음계든 첫 번째 음을 으뜸음(tonic)이라 부르고, 두 번째 음을 웃으뜸음(super-tonic), 세 번째음을 가온음(mediant), 네 번째음을 버금딸림음(sub-dominant), 다섯 번째 음을 딸림음(dominant), 여섯 번째 음을 버금가온음(sub-mediant), 일곱 번째 음을 이끔음(sub-tonic, leading tone), 여덟 번째 음은 다시 으뜸음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2) 화음의 종류

여기서 화음을 구성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어떤 음을 밑음으로 해서 그 위에 한 음씩 건너서 쌓아 올릴 수가 있다. 이때 두 개의 음이 모이면 2화음, 세 개의 음이 모이면 3화음 네 개의 음이 모이면 4화음, 다섯 개의 음이 모이면 5화음이라고 하는데,   특별히 4화음은 7화음이라고 부르고, 5화음은 9화음이라 부른다.
                       (음표를 클릭하면 화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4화음을 7화음이라 부르는 이유 - 위의 악보에서 보면 가장 아래에 있는 밑음 '도'에서 가장 높은음 '시'까지의 거리가 7도 이다. 7도라고 하는 것은 낮은음 '도'에서 높은음 '시'까지의 음정을 말하는데 음정을 알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아래음에서 윗 음까지의 계이름을 차례로 세어보는 것이다.('도'에서 '시'까지의 계이름을 세어보면  -  도, 레, 미, 파, 솔, 라, 시 - 이렇게 하여 7개의 음이 된다. 따라서 음정으로는 7도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4화음을 7화음이라 부른다.

  5화음을 9화음이라 부르는 이유 - 마찬가지로 가장 낮은 음 '도'에서 가장 높은 음 '레'까지의 계이름을 세어보면  -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 이렇게 하여 9개의 음이 되므로 9도 음정이다. 그래서 9화음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렇게 화음을 분류할 때 음정으로 바꾸어 부르는 것은 바로 위에서 말한 것 처럼 화음은 음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3) 3화음(triad)

이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3화음이다. 따라서 다장조의 3화음을 만들려면 다장조 음계의 각 음 위에 두 개의 음을 더 쌓아 올리면 된다. (음표를 클릭하면 화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즉, 다장조의 3화음은 모두 7개가 된다.(마지막 8번째는 처음과 같은 으뜸화음이 되므로)

그리고 음계의 순서를 나타냈던 로마숫자가 바로 화음기호가 되는 것이며(I, II, III, IV, V, VI,  VII) , 화음 이름도 밑음의 이름을 따서, 차례로 으뜸화음, 웃으뜸화음, 가온화음, 버금딸림화음, 딸림화음, 버금가온화음, 이끔화음 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주요3화음(Primary triads) - 모든 조에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는 I, IV, V 3개 화음을 말한다.

I

1도화음 (으뜸화음)

도, 미, 솔

IV

4도화음 (버금딸림화음)

파, 라, 도

V

5도화음 (딸림화음)

솔, 시, 레

버금3화음(secondary triads) -  II (2도화음), III (3도화음), VI (6도화음),  VII (7도화음)의 4개 화음을 말하며,
                                      부3화음이라 부르기도 한다.

     


화음기호와 화음코드 관계

 

화음기호는 음계의 순서에 따라 붙여진 번호를 로마숫자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모든 음계의 첫 번째 화음은 I도 화음이고 으뜸화음이다.
           
I,  II,  III,  IV,  V,  VI,  VII

 

화음코드는 조와 관계없이 영어 음이름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따라서 같은 이름의 화음은 언제나 소리가
같다. 그리고 화음코드는 기준이 되는 밑음의 영어 음이름을 그대로 사용한다. 영어로 장조는 Major(메이저)라고 하고, 단조는 minor(마이너)이라고 한다. 장3화음은 화음코드를 음이름 그대로 사용하지만, 단3화음일 때는 음이름 뒤에 소문자 m을 붙여 나타낸다.

    

다장조(C-Major)의 경우 번호순서와 계이름, 우리 음이름, 영어 음이름은 다음과 같다.

     

    

 다장조의 화음을 살펴보면 화음기호는 로마숫자로 바뀌었고, 화음코드는 영어 음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다만, 단3화음인 경우에만 음이름 뒤에 소문자 m을 붙여 쓰고 있다.

    

위에서 C, F, G코드는 주요3화음 1도, 4도 5도화음이고, Dm, Em, Am는 부3화음 중에서 단3화음이다.

그리고 Bmo는 감3화음이다 ('시'에서 '파'까지의 음정이 감5도이므로).

감3화음은 <밑음+단3도+감5도>로 구성되어 있는 화음으로 화음코드 끝에 o 로 표시한다.  Bmo   F#mo

증3화음은 <밑음+장3도+증5도>로 구성되어 있는 화음으로 화음코드 끝에 + 로 표시한다.  C+   A+

 

 이제 사장조(G-Major)의 경우를 살펴보자. 화음기호와 화음이름은 바뀌었지만 코드는 바뀌지 않았다. 다만 조표로 인하여 반음의 변화가 생긴 D, F#mo, Bm만 조금 달라졌을 뿐이다.(기본이름은 바뀌지 않았다.)

 

   

    

 4) 3화음의 구조

3화음은 앞서 말한 대로 3개의 음이 쌓아져서 이루어지는데, 기준이 되는 맨아래의 음을 '밑음', 가운데 음을 '3음', 위의 음을 '5음'이라 부른다.  이 밑음, 3음, 5음은 서로의 위치가 바뀌어도 그 이름은 바뀌지 않는다. 3음, 5음이라부르는 이유는 밑음에서 가운데 음까지의 음정(거리)이 3도이기 때문이고, 밑음에서 맨위의 음까지의 음정(거리)이 5도이기 때문이다.(화음은 음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앞에서 강조했었다.)

 

(음표를 클릭하면 화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I  

I6

  6
I4

밑자리화음

첫째자리바꿈화음

둘째자리바꿈화음

 

밑자리화음  :  기준음을 맨밑음으로하여 차례로 3도 5도로 쌓아올린 화음

I

IV

V

(도 미 솔)

(파 라 도)

(솔 시 레)

    

 첫째자리바꿈화음  :  밑음이 위로 올라가서 3음이 맨 아래로 위치한 화음. 3음에서 밑음까지의 음정이
                        6도이므로 화음기호 뒤에 6자를 붙여서 구분하기도 한다

I6

IV6

V6

(미 솔 도)

(라 도 파)

(시 레 솔)

              

둘째자리바꿈화음  :  첫째자리바꿈화음에서 또 3음까지 위로 올라가서 5음이 맨 아래에 위치한 화음.
                        5음에서 밑음까지가 4도, 5음에서 3음까지가 6도이므로 46을 화음기호 옆에 붙여서
                       구분하기도 한다.

  6
I4

      6
IV4

    6
V4

(솔 도 미)

(도 파 라)

(레 솔 시)

                           

  (도 미 솔), (도 파 라), (시 레 솔)?

    나이 드신 분들이나 음악을 전공하지 않은 분들은 초, 중, 고등학교 때 배운 주요3화음을 (도 미 솔), (도 파 라), (시 레 솔) 이라고 외우고 계신 분들이 많을 것이다. 이것은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정확히 말하면 (도 미 솔), (파 라 도), (솔 시 레)가 맞는 것이다.

(도 파 라)는 (파 라 도)의 둘째자리바꿈화음이고, (시 레 솔)은 (솔 시 레)의 첫째자리바꿈화음이다. 그러면 왜 그렇게 가르쳤느냐? 그것은 마침꼴 합창이나 피아노의 왼손 반주를 할 때에는 <화음을 연결할 때 같은 음은 같은 성부에 놓는다>는 기본 원칙에 따른 것이고, 그것을 자리바꿈의 설명없이 고착화 되어버린 결과이다.

                                         

 

        I

      6

IV4

 

I

 

V6

 

 I

 

    

       

 5) 주요3화음과 버금3화음의 성격 비교

 먼저 주요3화음과 버금3화음을 직접 들어보고 그 느낌을 비교해 보자.

(악보를 클릭하면 화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주요3화음   

  밝은 느낌이 든다. 그래서 장조에서 많이 사용한다.
     (장3화음 - Major triad))

버금3화음   

  조금 어두운 느낌이 든다. 그래서 단조에서 많이 사용한다.
    (단3화음 - Minor triad))

 

좀 더 자세히 분석해 보자.

다장조의 으뜸화음(도미솔)인 I도 화음을 보면 밑음(도)에서 3음(미)까지의 거리가 장3도이고, 밑음(도)에서
5음(솔)까지의 거리가 완전5도이다.  17_c_1.gif  밑음 + 장3도 + 완전5도로 이루어진 화음을 장3화음이라 부른다.

그런데 웃으뜸화음(레파라)인 II 도 화음을 보면 밑음(레)에서 3음(파)까지의 거리가 단3도이고, 밑음(레)에서
5음(라)까지의 거리가 완전5도이다.  17_c_1.gif  밑음 + 단3도 + 완전5도로 이루어진 화음을 단3화음이라 부른다.

즉, 장조의 주요3화음과 버금3화음은 3음에 의해 그 느낌이 달라지는 것이다.

 

           건반에서 장3도와 단3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단3도는 장3도에 비해 반음 간격이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악보에서
 
I도 화음의 밑음(도)은 건반 1번이고, 3음(미)은 건반 5번이다.
즉 반음건반으로 보면 1, 2, 3, 4, 5의 5개가 되지만(장3도)
 II 도 화음의 밑음(레)는 건반 3번 이고, 3음(파)은 건반 6번이다.
 즉 반음건반으로 보면 3, 4, 5, 6의 4개가 되어 장3도 보다 반음 간격이 좁은 단3도가 된다.
이러한 반음 간격의 차이가 화음의 성격을 다르게 만든다.

 

        장3도와 단3도의 소리 비교 - 장3도와 단3도의 소리를 직접 비교하여 들어보자.

          위의 건반에서 건반 1번과 5번을 동시에 누르면 장3도이다.  건반 1번과 4번을 동시에 누르면 단3도이다.

 음표를 클릭하세요.(소리듣기)

 

장3화음과 단3화음을 서로 바꾸어 보기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장3화음과 단3화음은 3음의 반음 높고 낮음에 따라 결정되므로 3음을 조절하여 바꾸어 볼 수 있다.

I도 화음의 3음인 '미'를 반음 낮추면              음표를 클릭하세요.(소리듣기)

                                                   장3화음(C)       단3화음(Cm)

II 도 화음의 3음인 '파'를 반음 올리면           

                                                   단3화음(Dm)     장3화음(D)

III 도 화음의 3음인 '솔'을 반음 올리면          

                                                   단3화음(Em)     장3화음(E)

IV 도 화음의 3음인 '라'를 반음 낮추면         

                                                   장3화음(F)       단3화음(Fm)

V 도 화음의 3음인 '시'를 반음 낮추면          

                                                   장3화음(G)       단3화음(Gm)

VI 도 화음의 3음인 '도'를 반음 올리면        

                                                  단3화음(Am)    장3화음(A)

     

       

 6) 7화음

7화음은 앞에서(2.화음의종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개의 음이 쌓여서 이루어진 4화음이다. 즉, 3화음 위에 한음을 더 쌓으면 된다. 그리고, 밑음에서 가장 높은음까지의 음정이 7도이므로 음정을 붙여서 7화음이라고 부른다. 화음기호는 3화음의 기호옆에 7자를 붙여서 나타낸다

(음표를 클릭하면 화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7화음은 불협화음(안어울리는 화음)이므로 잘 사용하지 않고, 그 중에서 V7(딸림7화음)만 주요3화음과 함께 사용한다.

         9화음(5화음)도 불협화음이므로 잘 사용하지 않고, 그 중에서 V9(딸림9화음)만 가끔 사용된다.

 

    clamp_purple.gif 정리

1) 3화음 : 음 3개가 모여 이루어진 화음으로 장조에서는 장3화음을 주로 사용한다.

          I - 1도 화음, 으뜸화음      IV - 4도 화음, 버금딸림화음    V -  5도 화음, 딸림화음

2) 7화음 : 음 4개가 모여서 이루어진 화음으로 7화음이라 부른다.  딸림7화음만 주로 사용한다.

          V7 - 5도 7화음, 딸림7화음

      

     

 7) 장조의 주요3화음과 딸림7화음

  다장조(C Major) 

                               I            IV           V             V7
                               C         F         G         G7

    음표를 클릭하면 화음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사장조(G Major)  

                               I            IV           V            V7
                               G         C        D         D7

 바장조(F Major)  

                               I           IV          V         V7
                               F        Bb       C       C7 

 라장조(D Major)  

                               I           IV           V          V7
                               D        G        A          A7

 내림나장조(Bb Major) 

                                I           IV           V           V7
                                Bb       Eb        F         F7 

 가장조(A Major)  

                                I           IV           V         V7
                                A        D         E       E7

 내림마장조(Eb Major) 

                                 I           IV           V           V7
                                Eb       Ab       Bb      Bb7

 마장조(E Major)  

                                I           IV         V           V7
                                E        A        B        B7 

 내림가장조(Ab Major) 

                                  I           IV          V           V7
                                  Ab     Db      Eb       Eb7

 나장조(B Major)  

                                 I            IV          V           V7
                                 B         E       F#       F#7 

 내림라장조(Db Major) 

                                   I           IV          V           V7
                                   Db     Gb      Ab      Ab7

 올림바장조(F# Major)

                                 I          IV           V           V7
                                F#       B        C#      C#7 

 내림사장조(Gb Major)

                                 I            IV          V           V7
                                Gb       Cb        Db        Db7

 올림다장조(C# Major)

                                  I           IV           V           V7
                                 C#      F#       G#      G#7 

 내림다장조(Cb Major)

                                   I          IV          V           V7
                                  Cb      Fb      Gb      Gb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