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관계조 :
관계조란 어떤 조의 근친관계에 있는 조를 말한다. 근친관계란 화성적으로, 선율적으로 깊은 연관성이 있는 관계란 뜻이다. 여기에는
딸림음조, 버금딸림음조, 나란한조, 같은으뜸음조의 4가지가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딸림음조
어떤조의 딸림음을 새로운 으뜸음으로 하는조. 여기에서 딸림음은 어떤조의 으뜸음(제1번)으로부터 완전5도 높은음(다섯
번째음)을 말한다. 다장조를 예로 들었을 때 으뜸음으로부터 완전5도
높은음, 즉 딸림음은 (솔)이다.
즉, 5번째음 (솔)을 새로운 조의 으뜸음으로 하는 장조를 만들면 다장조
딸림음이었던 (솔)의 음이름이 (사)이므로 사장조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계속 그 다음 딸림음조(사장조의 딸림음조)를 만들어
나가면 #(올림표)가 하나씩 더 붙어가는 조표가
된다. - 앞서 <조이름 알기>에서 설명됨.
|
②
버금딸림음조
어떤조의 버금딸림음을 새로운 조의 으뜸음으로 하는 조. 버금딸림음은 으뜸음으로부터 완전5도 낮은음을 말한다. (버금딸림음은
순서로는 4번째음이지만 거꾸로 세어 으뜸음에서 다섯 번째 아래의 음이 된다
.)

즉,
거꾸로 5번째 음 (파)를 새로운 조의 으뜸음으로 하는 장조를 만들면
다장조 버금딸림음이었던 (파)의 음이름이 (바)이므로
<바장조>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계속 그 다음 버금딸림음조(바장조의 버금딸림음조)를 만들어
나가면 b(내림표)가 하나씩 더 붙어가는 조표가
된다. - 앞서 <조이름 알기>에서 설명됨.
|
③
나란한조 - 같은 조표를 쓰는 장조와 단조를 서로 <나란한 조>라고
한다.


나란한
조
올림다장조 - ####### - 올림가단조

완전5도

올림바장조 - ###### - 올림라단조

완전5도

나장조 - #####
- 올림사단조

완전5도

마장조
- ####
- 올림다단조

완전5도

가장조
- ###
- 올림바단조

완전5도

라장조
- ##
- 나단조

완전5도

사장조
- #
- 마단조

완전5도

다장조
- - 가단조

완전5도

바장조
- b
- 라단조

완전5도

내림나장조 - bb - 사단조

완전5도

내림마장조 - bbb - 다단조

완전5도

내림가장조 - bbbb - 바단조

완전5도

내림라장조 - bbbbb - 내림나단조

완전5도

내림사장조 - bbbbbb - 내림마단조

완전5도

내림다장조 - bbbbbbb - 내림가단조
|
위와
같이 조표가 같은 <장조>와 <단조>를 <나란한
조>라 한다.
좀
더 주의 깊게 살펴보면 조표 하나의 차이는 <완전5도>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다장조>를 기준으로 <완전5도>높이면
#이 하나 붙은 <사장조>가 되고, 거기서
또 다시 <완전5도> 높이면 #이 두 개인 <라장조>가
된다.
또
<다장조>를 기준으로 <완전5도> 낮추면
b이 하나 붙은 <바장조>가 되고, 거기서
또 다시 <완전5도>낮추면 b이 두 개인 <내림나장조>가
된다.
따라서 왼쪽의 표에서 자기 자신의 위에 있는 조가
<딸림음조>가 되고, 자기
자신의 아래에 있는 조가 <버금딸림음조>가 되는
것이다.
딴이름한 조
<음이름과
계이름>에서 (딴이름한 소리-이명동음)을 설명하였다.
조성에서도
조이름은 틀리지만 실제 건반에서는 똑같은 조가 있다.
그
조의 으뜸음을 비교해 보면 (딴이름한 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올림다장조 ↔ 내림라장조
올림바장조 ↔ 내림사장조
나장조 ↔ 내림다장조
올림가단조 ↔ 내림나단조
올림라단조 ↔ 내림마단조
올림사단조 ↔ 내림가단조
|
④ 같은으뜸음조
- 으뜸음이 같은 장조와 단조의 관계를 말한다.
다장조
- 다단조, 라장조 - 라단조, 마장조 - 마단조, 바장조
- 바단조, 내림나장조 - 내림나단조 등등....


7)
여러 조의 관계조 알아보기
다장조
다단조 올림다단조 라장조 라단조 내림라장조 마장조 마단조 내림마장조 내림마단조
바장조
바단조 올림바단조 사장조 사단조 가장조 가단조 내림가장조 내림나장조 나단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