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단음계(minor scale) : 계이름 (라)를 으뜸음 1번으로 하여 2번째(시)와 3번째(도), 그리고 5번째(미)와 6번째(파) 사이가 반음이 되도록 한 음계
가단조 음계 만들기 음이름 (가)음을 으뜸음 (라)로 하여 8개의 음을 배열해서 번호를 붙여보면, (시)와 (도), (미)와 (파)가 반음으로 되어있다. 즉,
원음의 배열과 새로운 음계의 배열에 있어서 반음 간격의 위치가(2-3,
5-6) 딱
들어 맞는다. 따라서 임시표를 붙일 필요없이 그대로 하나의 음계가 되는 것이며 이 때 음계의 이름은 으뜸음(1번 '라')의 음이름인 (가)를
앞에 붙여서 <가단조>라고 한다. (악보를 클릭하면 음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마단조 음계 만들기 음이름 (마)음을 으뜸음 (라)로 하여 8개의 음을 배열해서 번호를 붙여보면, 5번 6번인 (미)와 (파)는 반음으로 되어 있는데, (라)와 (시)가 반음이고 2번 3번인 (시)와 (도)는 온음으로 되어있다. 즉, 원음의 배열과 새로운 음계의 배열에 있어서 반음 간격의 위치가 맞지 않는다.
따라서 2번 (바)음에 임시표 #(올림표)를 붙여 (올림바)음을 만들면 (라)와 (시) 사이는 온음이 되고 (시)와 (도) 사이는 반음 간격이 된다. 이 때 음계의 이름은 으뜸음(1번 '라')의 음이름인 (마)를 앞에 붙여서 <마단조>라고 한다.
(올림바)음에 붙어있는 #(올림표)를 가져다가 맨 앞의 높은음자리표 다음에 붙여놓으면
<마단조>의 조표가 된다.
여기에서 제7음인 (솔)을 반음 올려주면 마단조 화성단음계가 된다.
나단조 자연단음계 B - minor
나단조 화성단음계 B - minor
올림바단조 자연단음계 F# - minor
올림바단조 화성단음계 F# - minor
올림다단조 자연단음계 C# - minor
올림다단조 화성단음계 C# - minor
올림사단조 자연단음계 G# -minor
올림사단조 화성단음계 G# - minor
올림라단조 자연단음계 D# - minor
올림라단조 화성단음계 D# - minor
올림가단조 자연단음계 A# -minor
올림가단조 화성단음계 A# - minor
라단조 자연단음계 D -minor
라단조 화성단음계 D - minor
사단조 자연단음계 G - minor
사단조 화성단음계 G - minor
다단조 자연단음계 C - minor
다단조 화성단음계 C - minor
바단조 자연단음계 F -minor
바단조 화성단음계 F - minor
내림나단조 자연단음계 Bb - minor
내림나단조 화성단음계 Bb - minor
내림마단조 자연단음계 Eb -minor
내림마단조 화성단음계 Eb - minor
내림가단조 자연단음계 Ab - minor
내림가단조 화성단음계 Ab - min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