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음정(Interval)
1) 음정 : 음정이란 두 음사이의 거리(높이의 간격)을 말한다. ① 음정의 도수 계산하기 - 음정의 도수는 두음 중에서 낮은음부터 높은음까지의 계이름 갯수를 세어보면 된다. 우선 <다장조>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2) 홑음정과 겹음정 ① 홑음정 : 음정의 도수가 옥타브 안에 들어 있는 것(1도부터 8도까지의 음정) ② 겹음정 : 음정의 도수가 옥타브를 벗어난 것(9도 이상의 음정)
3) 기본음정 (모든 음정을 계산할 때는 여기서부터 출발한다.)
위 표의 내용을 암기하는 것이 좋다.
4)
음정의 성질 변화 : 음정을 이루는 두 음에 #, b,
완전1도 -> 증1도 완전4도 -> 증4도 완전5도 -> 증5도 완전8도 -> 증8도 완전4도 -> 감4도 완전5도 -> 감5도 완전8도 -> 감8도 (그런데
감1도라는 음정은 없다. 왜냐하면 완전1도는 두음의 높이가 똑같아서
간격이 0인 상태인데, 장2도 -> 증2도 장3도 -> 증3도 장6도 -> 증6도 장7도 -> 증7도 장2도 -> 단2도 장3도 -> 단3도 장6도 -> 단6도 장7도 -> 단7도 단2도 -> 감2도 단3도 -> 감3도 단6도 -> 감6도 단7도 -> 감7도 단2도 -> 장2도 단3도 -> 장3도 단6도 -> 장6도 단7도 -> 장7도
5) 음정 계산하기 1) 먼저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의 계이름을 차례로 읽는다. 그때 계이름의 갯수가 그 음정의 도수가 된다. 2) 그 음정의 계이름 사이에 반음이 몇 개 있는지 살펴본다.(미-파, 시-도 사이가 반음이다.) 3) 외워두었던 기본음정과 반음수를 비교한다. 만약
기본음정보다 반음수가 많으면 그 음정은 오히려 반음 간격이 4) 만약 임시표(#, b, 또, 높은음이 내려가면 반음 줄어든 것이고(-), 낮은음이 내려가면 반음 늘어난 것이다(+).
<실습1> 우선 <다장조>에서
<1번 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의 계이름을 읽어보면 <미,파,솔,라> 4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4도이다. 2. 여기에는 <미-파> 반음이 1개 있다. 3. 기본음정 4도는 <완전음정>이고, 반음수가 1개인데 여기도 1개로 같으므로 이 음정은 <완전4도>이다. |
|||||||||||||||||||||||||||||||||||||||||||||||||||||||
<2번 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의 계이름을 읽어보면 <레,미,파> 3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3도이다. 3. 기본음정 3도는 <장음정>이고 반음수가 0인데 여기는 반음이 1개
있으므로 반음 줄어든(-) 것이다. <3번 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의 계이름을 읽어보면 <미,파,솔,라,시,도> 6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6도이다. 3. 기본음정 6도는 <장음정>이고 반음수가 1개인데 여기는 반음이
2개 있으므로 반음 줄어든(-) 것이다. <4번 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의 계이름을 읽어보면 <파,솔,라,시> 4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4도이다. 2. 여기에는 반음이 하나도 없다. 3. 기본음정 4도는 <완전음정>이고, 반음수가 1개 인데 여기는 반음이
없으므로 반음 늘어난(+) 것이다. <5번 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의 계이름을 읽어보면 <레,미,파> 3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3도이다. 3. 기본음정 3도는 <장음정>이고 반음수가 0인데 여기는 반음이 1개
있으므로 반음 줄어든(-) 것이다. <6번 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 계이름을 읽어보면 <미,파,솔,라,시,도,레> 7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7도이다. 2. 여기에는 <미-파, 시-도> 반음이 2개 있다. 3. 기본음정 7도는 <장음정>이고 반음수가 1개인데 여기는 2개 있으므로 반음 줄어든(-) 것이다. 따라서 장7도가 반음줄어들어(-) <단7도>가 되었다. 4. 그런데 높은음에 b(내림표)이 붙어서 간격이 좁아졌다(-).
<실습2> 조표가 있는 경우 <7번 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의 라장조 계이름을 읽어보면 <도,레,미> 3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3도이다 2. 여기에는 반음이 없다. 3. 기본음정 3도는 <장음정>이고 반음수가 0이어서 반음수가 같으므로 <장3도>이다. <8번 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의 라장조 계이름을 읽어보면 <레,미,파,솔,라,시> 6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6도이다. 3. 기본음정 6도는 <장음정>이고 반음수가 1인데 여기도 반음수가
1개 있으므로 같은 <장6도>이다. <9번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의 내림마장조 계이름을 읽어보면 <미,파,솔> 3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3도이다. 3. 기본음정 3도는 <장음정>이고 반음이 0인데 여기는 반음이 1개
있으므로 반음 줄어든(-) 것이다. 4. 그런데 낮은음에 #(올림표)이 붙어서 간격이 좁아졌다(-). 따라서 단3도가 줄어들어(-) <감3도>가 되었다. <10번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의 내림마장조 계이름을 읽어보면 <파,솔,라,시> 4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4도이다. 2. 여기에는 반음이 하나도 없다. 3. 기본음정 4도는 <완전음정>이고, 반음수가 1개 인데 여기는 반음이
없으므로 반음 늘어난(+) 것이다. 4. 그런데 높은음에 b(내림표)이 붙어서 간격이 좁아졌다(-). 따라서 증4도가 줄어들어(-) <완전4도>가 되었다. <11번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의 가장조 계이름을 읽어보면 <라,시,도,레,미> 5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5도이다. 3. 기본음정 5도는 <완전음정>이고 반음이 1개인데 여기도 반음이 1개 있으므로 <완전5도>이다. 4. 그런데 낮은음에 반음이 내려간다. 따라서 간격이 넓어지므로(+) 완전5도가 늘어나(+) <증5도>로 되었다. <12번문제> 1. 낮은음에서 높은음까지 가장조 계이름을 읽어보면 <시,도,레,미> 4개음이다. 그러므로 도수는 4도이다. 2. 여기에는 <시-도> 반음이 1개 있다. 3. 기본음정 4도는 <완전음정>이고 반음수가 1개인데 여기도 1개 있으므로 <완전4도>이다. 4. 그런데 높은음에 높은음이 반음 내려가 간격이 좁아졌다(-). 따라서 완전4도가 줄어들어(-) <감4도>가 되었다.
6) 건반에서의 음정 비교
먼저 <장3도>를 보면 낮은음이<도>이므로 건반 1번이고, 높은음이
<미>이므로 건반 5번이 된다. <단3도>를 보면 낮은음이 <미>이므로 건반 5번이고, 높은음이 <솔>이므로
건반 8번이 된다.
7)
음정의 자리바꿈 : 음정을 이루는 두 음 중 낮은음이 옥타브
위로 올라가거나, 높은음이 옥타브 아래로 내려오는
<실습3> 다음 음정의 성질과 도수를 쓰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