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엘리제를 위하여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가장 많이 사랑 받고 있는 '엘리제를 위하여'. 베토벤이 죽고 나서 발견한 악보에서부터 시작이 됩니다. 1867년 초에 처음으로 이 작품을 출판한 독일의 음악학자 루트비히 놀이 친구 브레들의 집에서 베토벤 자필 악보를 발견하게 되고, 1810년에 작곡된 곡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출판하게 돼요. 워낙에 베토벤의 글씨가악필이라 테레제를 엘리제로 잘못 읽으면서 '엘리제를 위하여' 라는 제목의 악보가 출판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 추측을 해볼 수 있는데요. 첫 번째는 엘리제 즉, 테레제의 주인공으로 '테레제 말타피' 가 아닐까 추측할 수 있습니다. 두 명의 백작영애로부터 사랑을 거절당한 베토벤이 새롭게 결혼하고자 마음먹었던 18세의 테레제 말타피를 위해서 작곡한 것이라는 추측인거죠. 하지만 1810년이면 베토벤 나이 40세. 테레제의 나이 18세.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겠쬬. 이 둘의 결혼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브레들은 이보다 앞서 이 자필악보를 테레제 말파티로부터 선물을 받았다고 하기도 하네요.
두 번째 추측은 '엘리자베스 뢰켈'과 연관된 추측입니다. 베토벤보다 23살 어린 '엘리자베스 뢰켈' 은 베토벤의 오페라 [피델리오]에서 주인공인 플로레스탄 역을 맡았던 조세프 뢰켈의 여동생으로, 그녀는 1814년 3월 9일 첫째 아이의 세례기록에 자신의 이름을 엘리자베스가 아닌 ‘마리아 에바 엘리제’라고 기록했어요. 이 증거가 바로 엘리제를 위하여의 그 이름과 동일하며 이후 1810년 엘리자베스가 빈으로 떠나게 되면서 그녀와의 추억을 그린 것이 이 작품이다는 추측인 거죠.
아쉽게도 지금은 '엘리제를 위하여' 친필악보가 남아있지 않다고 해요. 과연 엘리제를 위하여의 진실은 무엇일까요? 아직까지도 풀리지 않고 있는 엘리제를 위하여의 '엘리제'. 하지만 분명한 것은 베토벤의 마음속에 깃든 사랑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는 것 아닐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