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프, 칼  <Orff, Carl>   (1895.7.10∼1982.)

 

 

   독일 뮌헨 출신의 현대 독일의 대표적인 작곡가, 교육자. 일찍부터 음악적 자질을 발휘, 어렸을 때 자작의ㅡ 인형극에 노래와 음악을 썼다. 16세 때인 1911년에는 벌써 게르만(E. Germann)에 의해서 <5개의 가곡집>이 출판되었다. 이 해 50곡 이상의 가곡, 니체의 <짜라투스트라>에 의한 합창, 관악 오케스트라, 2대의 오르간, 2대의 피아노, 2대의 하프를 위한 대작을 작곡했다.

  1913년 일본의 카부키 <글방>에 따른 최초의 오페라 <희생>을 작곡했다. 1914년 뮌헨 고등음악학교를 졸업 후, 1915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그 후 뮌헨, 만하임, 다름시타트의 가극장의 지휘자를 역임했으며1921년에는 뮌헨으로 돌아와서 카민스키(Heinlich Kaminsky 1886-1946)에게 사사했다.

  1924년 도로테 귄터(Dorothee Gunther)에 의해서 창설된 고전교육, 음악, 무용을 위한 <귄터학교>의 음악교육부에서 교편을 잡음으로써 교육자로서 출발했다.

  한편 르네상스나 바로크 음악에도 흥미를 가져, 16세기의 류트곡집에 의한 <쳄발로와 관현악을 위한 소협주곡>을 위시해서 윌리엄 버드에 의한 <엔트라타> 등을 작곡했다. 또한 지휘자로서도 뮌헨 바하협회에 소속하여(1930-33), 바하의 위작이라고 하는 <누가수난곡>을 위시하여 쉬쯔의 <부활제 이야기>를 그 무대와 함께 연주했다.

  1937년엔 그의 대표작의 하나인 무대용 칸타타 3부작의 제1부 <카르미나 부라나>를 완성 초연했다.

  1943년에는 제2부 <카툴리 카르미나>, 1953년에는 제3부 <아프로디테의 승리>를 초연했다. 1943년에는 오페라 <현명한 여자>, 1949년에는 오페라 <안티고네> 등 대표작을 계속 발표해서 오페라 및 극음악 작곡가로서의 지위를 확고하게 구축하였다.

  1950-60년, 뮌헨 고등음악학교 작곡가 주임교수가 되었으며, 1955년에는 튀빙겐대학으로부터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오르프의 흥미의 중심은 어디까지나 극음악이었으며 그의 주요 작품은 거의가 모두 오페라나 무대를 수반하는 작품이다. 초기에는 R. 스트라우스나 피쯔너 등의 영향을 받았지만 차츰 독자적 양식을 쌓아 나갔다. 그의 음악의 바탕은 음악, 언어, 동작(특히 무용적 요소)이라고 하는 3개의 기본적 요소의 완전한 일치를 목표한 데 있다. 그리하여 그것에 의해 이루어진 드라마는 말하자면 <세계>의 투영이라고 해서 자기의 극작품을 <세계극-Welt Theater>이라고 불렀다. 이것은 그리스 고전극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그의 작품에 시종일관해서 나타난다. 그의 극작품의 제재에 그리스극이 허다하게 다루어진 것도 그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그의 원시주의에의 접근은, 리듬의 중시를 가져오고 단순한 화성구조에 의하면서 리듬의 반복, 더 나아가 동기, 악구, 악절릐 반복이 기본적인 구성원리가 된다. 이 리듬의 중시는 또한 그의 교육원리의 기초가 되며 1930년 이래 카를 멘틀러(Karl Maesdler 1872-1958)의 협력으로 만들어진 음악교육용 작품 <쉴 베르크>나 케트만(Gunild Keetmann)의 협력에 의한 <어린이를 위한 음악>은 특유한 리듬 교육법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