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vichord

     

클라비코드(Clavichord)는 현을 울려 소리 내는 최초의 건반악기로 하프시코드(쳄발로, 클라브생)보다 먼저 발명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모노코드(1현금)에 소형 오르간의 건반 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하프시코드와는 소리 나는 방식이 달랐다.

하프시코드는 현을 긁어서 소리를 내지만, 클라비코드는 현을 때려서 소리를 내는 방식이어서 지금의 피아노와 같은 원리로 소리를 내었다. 쳄발로가 소리는 더 큰 반면 강약의 표현이 부족한데 비해, 클라비코드는 비록 소리는 작지만 건반을 누르는 힘이 곧 현을 때리는 힘이었기 때문에 그 힘을 조절함으로써 어느 정도 셈여림을 표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섬세한 표현은 가능했으나 음량이 너무 적어서 가정용 독주 악기로 자주 연주되었으며, 하프시코드에 비해서 소리도 다소 둔탁했다. 클라비코드도 하프시코드처럼 피아노에 밀려 바로크 이후 쇠퇴하였다. 오늘날 바로크 음악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하프시코드도 다시 활성화 되었지만, 클라비코드는 활성화 되지 못하였다.

 

 

 

바흐(J. S. Bach)   Bach, Johann Sebastian (1685-1750) : Gerrmany

-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1집 제1곡 다장조 전주곡 BWV 846 (클라비코드)

바흐(C. P. E. Bach)   Bach, Carl Phillip Emmanuel (1714-1788) : Germany
                      
대 바흐와 첫부인 Maria Barbara 사이의 차남

- Württemberg Sonata I, Wq.49-1  클라비코드를 위한 뷔템베르크 소나타  Wim Winters(Clavichord)
        
1. Moderato      2. Andante      3. Allegro assai

    * Clavichord by Hieronymus Albrecht Hass, 1742

- Clavichord Sonata in G Wq.55-6  클라비코드 소나타 사장조  Pieter-Jan Belder(Clavichord)

- Clavichord Sonata in G Wq.56-1  클라비코드 소나타 사장조  Pieter-Jan Belder(Clavichord)

- Clavichord Sonata in F Wq.56-2  클라비코드 소나타 바장조  Pieter-Jan Belder(Fortepiano)

- Rondo in C for Clavichord, Wq.56-1  클라비코드를 위한 론도 다장조  Pieter-Jan Belder(Clavichord)

- Rondo in D for Clavichord, Wq.56-2  클라비코드를 위한 론도 라장조  Pieter-Jan Belder(Clavichord)

 

- Rondo in Bb for Clavichord, Wq.58-5  클라비코드를 위한 론도 내림나장조  Lucas Blondeel(Clavichord)

- La Buchholtz, Wq. 117/24 (H.93)  표제가 붙은 작품집 중에서 '부흐홀쯔'  Miklós Spányi(Clavichord)

 

- 표제가 붙은 작품집 중에서 '뵈머' <비교감상>

        La Bohmer, Wq.117/26 (H.81) from Petites Pieces  Miklós Spányi(클라비코드)

        La Bohmer in D, Wq.117/26 (H.81)  Ana-Marija Markovina(피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