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람스, 요하네스 (1833-1897) Johannes Brahms                 

출생과 환경

 

독일의 작곡가. 함부르크 출생. 5세 때부터 아버지에게 바이올린과 첼로를 배우고, 7세 때 O.코셀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10세 때 음악회에 나가 뛰어난 기량을 발휘하자, 부모는 미국으로 건너가 그의 재능을 이용하여 치부(致富)할 생각이었으나 코셀은 이를 반대하고 그의 스승인 E.마르크센에게 브람스를 사사받도록 하였다. 여기서 그는 작곡법, 고전음악의 가치, 음악의 견실한 구성법과 이론을 배웠는데, 이는 그의 음악적 생애의 초석이 되었다.

그러나 이 후 50년까지는 브람스의 고난의 시대가 계속되었다. 가정 사정으로 학교를 중퇴하고, 가계를 돕기 위해 술집·식당·사교장 등을 돌면서 피아노 연주를 하였으며 여가가 나면 피아노 개인지도, 합창단의 지휘, 합창곡의 편곡 등으로 동분서주해야만 했다. 그러다가 1850년 헝가리의 바이올리니스트 J.요아힘을 알게 되어 53년 그와 함께 연주여행을 떠나 이 여행에서 그의 생애를 통해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슈만부처를 만나게 되었다. 그들은 브람스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고 각 방면에 소개하여 음악계에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54년 신경쇠약으로 인한 슈만의 자살미수와 입원, 그리고 56년의 사망에 이르는 약 2년 동안에 브람스는 작곡에 몰두하는 한편, 어려움에 처해 있는 슈만가(家)를 도왔다.

한편 슈만의 부인이며 뛰어난 피아니스트인 클라라와의 우정도 깊어져 갔다. 57∼59년 그는 처음으로 공적인 직위를 얻어 데트몰트궁정에서 피아니스트로 근무하면서 작곡에도 몰두할 수 있었다. 이 곳에서의 근무를 마친 후 62년 가을까지는 고향인 함부르크로 옮겨 합창단의 지휘, 합창곡의 작곡 등을 하다가 62년 9월 빈으로 이주, 63년 징아카데미합창단의 지휘자로 초빙되었다. 그는 그 곳에 머무는 동안 많은 뛰어난 작품들을 작곡하였다. 65년 2월부터 어머니의 죽음을 추도하는 작품에 착수, 68년에 대작 《독일레퀴엠》을 완성하고 69년에는 슈만의 셋째 딸 유리에에 대한 그의 실연을 노래한 《알토랩소디》를, 71년에는 프로이센의 대 프랑스전쟁의 승리를 기념하는 《승리의 노래》를 작곡하는 등, 관현악부 성악곡을 많이 만들었다.

72년 가을부터 75년까지는 빈 음악인협회 회장으로 있으면서 그 합창단과 관현악단의 정기연주회를 지휘하였는데, 이때의 관현악단을 통한 실지 체험은 76년에 완성된 《제1교향곡》에 잘 나타나 있다. 브람스의 작곡가로서의 진면목은 이때를 전후하여 발휘되기 시작했고 대가로서의 품격도 갖추게 되었다. 78년 이후 매년 걸작을 발표하였는데, 《바이올린협주곡(라장조)》(작품 77) 《바이올린소나타》(작품 78) 등은 모두 이 무렵에 발표된 것들이다. 79년 브로츨라프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게 되자, 이에 대한 사의로 그 이듬해 《대학축전(祝典) 서곡》(작품 80)을 작곡하였다. 이어 90년까지 《비극적 서곡》(작품 81) 《피아노협주곡 제2번》(작품 83) 《현악 5중주곡》(작품 88) 등 수많은 작품을 완성하였으나, 90년부터는 체력과 창의력의 쇠퇴를 자각하고 대곡의 창작을 단념, 신변 정리를 결심하였다. 그러나 91년 3월 뛰어난 클라리넷 주자 R.뮐펠트의 연주를 접하자, 다시 영감과 창의력을 얻어 91년 《클라리넷 3중주곡》(작품 114) 《클라리넷 5중주곡》(작품 115)과 94년 두 곡의 클라리넷 소나타 등 일련의 클라리넷을 포함한 실내악곡을 쓰게 되었다.

96년 3월 그의 평생의 친구인 클라라가 졸도한 후 병세가 악화되자, 죽음을 진지하게 생각하며 성서를 토대로 한 《4개의 엄숙한 노래》(작품 121)를 작곡하였다. 5월 20일 클라라가 세상을 떠난 뒤 브람스의 건강도 눈에 띄게 쇠약해졌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오르간용의 종교적인 오르간곡 《11의 코랄전주곡》(작품 l12)을 작곡하였다. 그러나 97년 4월 3일 마침내 간암으로 이 세상을 떠났다.

브람스는 오페라 이외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작품을 남기고 있다. 그의 음악은 독일음악의 전통을 보수적일 만큼 존중하며, 견고한 구성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형식주의적인 단순한 것이 아니라, 매우 풍부하고 다양한 감정을 내포하고 있다. 때로는 북독일적이며, 때로는 빈(Wien)적이지만, 인간 브람스의 피가 흐르는 매우 소박한 풍격이 그의 음악의 큰 매력이 되고 있다. 그만큼 브람스의 작품에서는 호화스런 색채감각은 찾아볼 수 없다. 그는 신앙심이 두터운 프로테스탄트 신자이었기 때문에 종교적이면서도 죽음의 예감이 감도는 장중한 작품들이 많으며, 특히 만년에 발표한 성악곡에는 이러한 것들이 많다. 브람스는 낭만주의의 화려한 시대에 있어 고전파음악의 전통을 지킴으로써, 시대의 풍조에 휘말리지 않는 독자적 작풍을 견지한 작곡가이다. 또한 그는 R.슈트라우스, A.드보르자크 등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작품의 특징

브람스의 작품에는 신낭만주의적인 색채가 배어있다. 그러나 초기 이후의 브람스의 작품은 시대적 흐름에서 벗어나 독자적 양식을 수립하기에 이른다. 물론 낭만주의적이지만 리스트,바그너의 신낭만주의와는 다른 것으로 오히려 슈만풍의 중기 낭만주의의 베토벤등의 클래식 양식과 바흐풍의 바로크 양식을 가미한 것이다.

브람스 음악에 큰 영향을 끼친 또 한사람은 클라라였다. 브람스와 클라라는 오랫동안 우정과 애정사이를 교통하며 이성적으로 교재하였는데 브람스는 신작을 발표하기전에 클라라에게 의견을 묻거나 자주 방문하여 작품에 대해 의논하곤 했다. 브람스 음악에는 북부 독일적인 무겁고 둔한 듯한 작품을 썼다. 그러나 왈츠의 왕 슈트라우스와의 교제와 맑고 활기찬 빈에서의 생활 그리고 남 유럽의 이탈리아의 여행등으로 중반기 이후에는 작품이 밝고 경쾌하며 서정성이 짙어진다. 오페라는 약 200곡을 남겼는데 짜임새있는 민요곡 풍의 인공적인 색채를 강하게 풍기면서 복합리듬을 많이 사용하였고 선율과 베이스의 대위법을 중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