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soon

     

바순에 사용하는 겹리드

분리해서 케이스에 담은 바순

바순은 <파곳>이라고도 하며 8피트나 되는 긴 관을 가지고 있어서 목관악기중 가장 낮은음을 낸다. 오보에처럼 겹리드를 가지고 있다.

저음역은 힘차고 충실한 음색이나 고음부에서는 풍부한 느낌이 차차 줄어든다. 이 악기의 특징은 중음역의 부드러운 음색과 운동성에 있으며 특히 스타카토는 독특한 표현력을 지녔다. 오케스트라에서의 아름다운 용례(用例)는 풍부하지만 독주곡은 적다.

 

바순[(영어: bassoon, 프랑스어: basson 바송), 또는 파곳(독일어: fagott 파고트, 이탈리아어: fagotto 파고토)]은 리드가 두 개인 목관 악기로, 목관 악기 중에서 가장 낮은 음을 낸다. 과거에는 독주 악기보다는 통주저음의 일부를 담당하는 반주 악기의 역할을 했지만, 비발디 대에 이르러 애수어린 음색을 띠게 되고, 개인기를 풍부하게 살릴 수 있는 악기로 바뀌었다.

바순은 연주하기에 매우 까다로운 악기인데, 그 이유는 전통적인 지공의 위치가 과학적으로 불합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헨델 시대로부터 관현악단의 주요음색 가운데 하나였던 이 악기의 독특한 음색을 만드는 본질적인 요소이다. 리드는 다듬어진 갈대 조각을 2겹으로 접어서 사용한다. 바순은 17세기에 둘치안(dulzian)이라고도 부르는 초기 파고토(fagotto:영국에서는 커틀[curtal]로 알려졌음)에서 발전한 것이다. 이 악기는 1540년경 이탈리아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단풍나무나 배나무로 만들어진 통 아래 위로 구부러진 관이 있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브뤼셀·베를린·빈 등지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636년 프랑스에서 개발된 것으로 여겨지는 현재의 형태는 4개의 개별적 부분으로 된 것으로, 오보에의 전신인 (shawm)의 개조형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바순은 오보에에 대해 베이스의 역할을 한다. 18세기에 바순의 독특한 개성은 관현악에서뿐 아니라(그 이후 관현악에는 통상적으로 2대의 바순이 사용되어왔음), 협주곡을 위한 독주 악기로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18세기말의 모차르트 시대에는 4개의 키 이상의 메커니즘은 필요하지 않았으며 자연적인 C 장조 음계 외의 대부분 반음들은 비연속적으로 손가락 구멍을 여는 교차 운지(cross-fingerings)로 얻을 수 있었다. 1780년경부터 하나 둘씩 키가 첨가되더니 1840년경에는 사바리의 파리 모델이 등장했고, 이 모델이 보다 발전하여 20개의 키가 달린 프랑스 바순이 되었다.

유명한 뷔페-크랑퐁(Buffet-Crampon)회사에서 만든 이 악기는 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에서 사용되며 몇몇 영국 연주자들도 사용하고 있다.

이전까지의 고전적인 바순은 호소력이 강한 성악적인 음향(성악적 선율, 노래부르는 듯한 선율을 낼 수 있다는 뜻)을 보존하고 발전시켜왔던 반면, 프랑스 바순은 여전히 조작하기 힘든 악기로 남았는데 이는 음색이 고르지 못하고 음을 쉽게 내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현재는 독일 헤켈식 바순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바순의 악기 재료로, 두 개의 관은 단풍나무나 장미, 이집트 또는 소아시아산의 무화과나무 등이 쓰이며 크룩은 놋쇠에 은도금을 입힌 것이 많다. 바순은 음정이 고르지 않은데, 이는 악기 자체가 지닌 제약점으로, 연주자가 극복하는 수밖에 없다.

악기는 4등분으로 되어 있어 취급하기 매우 편리하게 되어 있다. 관의 목체는 취구관(吹口管, crook) 또는 S자관, 짧은 동부관(短胴部管, tenor joint), 족부관(足部管, double joint), 긴 동부관(長胴部管, bass joint), 선단관(先端管, bell joint)의 5개 부분으로 되어 있고, 그 전길이는 대략 3m가 되나 족관의 부분에서 구부러져서 약 1.4m로 되었다. 2장 1조의 리드는 그 이름과 같이 굽은 S자관의 끝에 붙어 있다. 재질은 S자관과 족부관의 굴절부만이 금속이고 그 밖은 목제이다. 관에는 6개의 기본구멍과 20개 전후의 키가 있으나, 그 구조는 특수한 바순 특유의 음빛깔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다른 목관 악기와 같이 뵘식 기구를 채용하지는 못한다. 현재 쓰이고 있는 것 중에는 프랑스형과 독일형이 있고 키를 다루는 법이 약간 다르다.

바순도 오보에처럼 연주자가 직접 리드를 만들어 쓴다. 갈대를 깎아서 물에 불리고 말려서 다듬어 일주일 정도 정성을 쏟아 리드가 완성되어도 연주자 개인에게 꼭 맞는 리드를 만들기는 힘들다.

 

오케스트라에서 이 악기의 주 목적은 다른 악기의 음향을 강화시켜 목관군의 저음을 조화롭게 만드는 데 있지만, 선율 악기의 역할도 훌륭히 소화해 낸다. 클라리넷과 합주할 때는 박력과 색채를 더해 준다. 그러나 본래 바순은 음량이 크지 못하고 음색이 다른 악기에 쉽게 흡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여러 악기와 합주할 때는 다른 악기에 대하여 어디까지나 보조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출처 : 다음백과, 위키백과)

 

 

 

음듣기

높은음에서는 매우 처량한 느낌이며,

낮은음은 매우 무거운 느낌을

스타카토는 건조하고 메마른 느낌

바순보다 더 낮은음을 내는 더블 바순(콘트라바순) 도 있다.

 

 

 

 

Klaudia Abramczuk(Bas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