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곡인 <로마의 분수>가 그의 나이 37살 때 작곡되었고, 그로부터 8년후인 1924년에 두 번째 곡인 <로마의 소나무>가 작곡되었다. 레스피기는 1926년 1월 15일, 스스로 필라델피아 관현악단을 지휘하여, 이 곡을 연주하였는데 프로그램에 다음과 같은 설명을 곁들였다.
"<로마의 소나무>에서 나는 기억과 환상을 불러 일으키기 위한 출발점으로 자연을 적용했다. 매우 특징이 있는 로마 풍경을 지배하고 있던 몇 세기에 걸친 수목은, 로마 생활에서 중요한 사건의 증인이 되고 있다."
이리하여, 레스피기는 <로마의 분수>에서는 현실 세계에서의 환상을 다루었음에 대하여, 이번에는 고대 로마에 눈을 돌려, 지난 날의 로마에서 환영을 모색했던 것이다. 따라서 소나무가 나타내는 현실의 모습 그 자체는, 여기서는 분위기 외에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로마의 소나무>에서는 옛날 교회 선법을 즐겨 사용했으며, 오랜 시대에의 향수와 과거에의 환상이 효과적으로 살려져 있다.
레스피기는 이 곡을 이처럼 옛 양식을 적용하여 작곡하였으나, 거기에는 또 하나의 큰 이유도 있었다. 그것은 일찌기 그가 로마의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 도서관의 풍부한 자료를 조사하다가, 차차 이탈리아의 옛 음악에 공감을 지니게 되었으며, 특히 그레고리오 성가에 큰 관심을 갖게 되자, 그러한 옛날 음악에 대한 애착을 나타내는 곡을 몇 가지 작곡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로마의 소나무를 통하여 과거를 회상함에 있어서 이러한 수법이 다시 살아난 것이다.
그러나 곡은 단순히 고색 창연하다는 것만은 아니다. 림스키-코르샤코프로부터 영향받은 관현악법도, 완전히 레스피기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고 있으며, 인상주의적인 기법마저 사용하면서 독특하고 감상적인 서정성을 깊이 간직했던 것이다.
곡은 4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으나, 이 4개의 곡을 계속 연주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4개의 부분에서 로마에 있는 저명한 4 종류의 소나무를 다루었던 것이다. |
<악기 편성> 풀륫 3(1개는 피콜로), 오보에 2, 일글리시호른, 클라리넷 2, 베이스 클라리넷, 파곳 2, 콘트라파곳 2, 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4, 팀파니, 트라이앵글, 작은 심벌즈 2, 탬 버린, 크레세르(목제의 회전식 악기), 큰북, 징, 하프, 종, 첼레스타, 피아노, 오르간, 현악합주, 꾀고리 소리의 녹음, 무대 뒤의 부치나(옛날의 나팔) 6 |
[제1부]
A B
|
||
[제2부]
차차 기도 소리는 고조되어 그것에 악보 D의 가락도 대위법으로 들어온다. 그리하여 커다란 클라이막스를 구축하면 악보 악보 C의 성가가 호른으로 나타나면서 차차 가라앉고 이 성가의 단편을 목관이 다루면서 곡은 신비스러운 화음을 거느리고 고요하게 제3부에 들어 간다.
C D E
|
||
[제3부]
F G
|
||
[제4부]
용맹스러운 행진이 다가온 것이다. 이리하여 이 진군의 가락과 팡파르를 다루면서, 곡은 커다란 클라이막스를 쌓아 올린다. 바야흐로 트럼펫과 트롬본이 대활약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진군의 가락을 높이연주하여, 이 고대 로마의 영광을 찬양한 제4부는 화려하고 힘차게 끝난다.
H I J
|